전기영동
- 최초 등록일
- 2002.05.08
- 최종 저작일
- 2002.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목차
1.원리
전기영동법의 종류
① 이동계면 전기영동법(Moving boundary electrophoresis)
② 띠 전기영동법(Zone electrophoresis)
③ 불연속 겔 전기영동법(Disc-gel electrophoresis)
④ SDS겔 전기영동법
2. Buffer
3. 방법
본문내용
기영동은 전기장 안에서 하전된 입자가 양극 또는 음극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이동하는 속도는 입자의 전하량, 크기와 모양, 용액의 pH와 점성도, 용액에 있는 다른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의 세기, 지지체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어떤 용액에서의 하전된 알맹이의 이동속도는 분자 자체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전기영동법은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단백질 들과 같은 하전된 물질들을 분리하거나 분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된다.
전기영동법의 종류
① 이동계면 전기영동법(Moving boundary electrophoresis)
전기영동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이동계면 전기영동법으로서, 분리하고자 하는 분자들이 용액 내에 산재해 있는 상태에서 전류를 통하여 용매와 용액사이 또는 용액과 용액사이에 계면을 이루게 하는 전기영동법이다. 이동계면 전기영동법에서 계면의 이동은 용액에다 빛을 통과시키고 그 결과를 사진으로 만들어서 조사할 수 있다. 이동계면 전기이동법은 이론상 매우 복잡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는 것이 단점이다.
참고 자료
http://my.netian.com/~ycpark99/protocol.htm
http://my.dreamwiz.com/chyna/
http://heartkorea.com/mol_b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