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원론] 관광정책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2.04.28
- 최종 저작일
- 2002.04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들어가는 말
1. 통합적인 관광자원 관리 구축
2.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운영계획 수립
3. 시범적인 문화관광마을의 지정 운영
4. 의사결정 및 집행단계에서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유도ㆍ지원
5. 지역주민의 관광사업 및 인식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6. 계층간의 이해조정기구 설치
7. 관광객 교육용의 프로그램 개발
8. 관광 사업자용의 교육ㆍ운영지침ㆍ메뉴얼 작성 필요
9. 전국민적 인식확산 운동으로 전개
10. 여성의 관광개발 참여활동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11. 청소년층을 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
12. 지속성과 관련된 기초적인 연구사업 수행
*생태관광정책 발전 방향*
*생태관광 정책 과제*
*감성세대를 향한 홍보전략 세울 때*
*감성세대를 이용한 감성세대 끌어들이기*
2001년 문화관광축제의 회고
*문화관광축제의 정책 방향*
*민간투자 활성화의 필요성*
*외국의 민간투자 촉진 사례*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기존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관한 이론연구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체계를 어느 정도 제시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세부적인 지침으로까지 확대하여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한 관광분야의 주요 이슈는 더욱 구체적이며 세부적인 실행전략 수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관련한 제반 과제를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관광부분의 정책 이슈로 분류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통합적인 관광자원 관리 구축
최근 국제기구들은 생물의 다양성이 위협받는 지역에 대하여 장기보전책으로 통합적 보전ㆍ개발사업 접근방식(integrated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project approach : ICDP) 도입을 제시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측면에서도 관광목적지의 자연 및 사회환경을 보전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정부, 관광자, 지역주민, 관광사업체, 투자자 등의 입장과 역할을 고려한 통합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자연보존연맹(the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의 산하단체인 국립공원
참고 자료
김영준(1999), '정책분석: 관광부문 민자유치 촉진제도 변화', 계간 {한국관광정책}, 제2호.
김향자·김상태(2001, 8), '지역관광개발사업의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지방재정}, 제4호.
문화관광부(2001),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류삼열, '지역관광개발사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