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엠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사례
- 최초 등록일
- 2009.12.02
- 최종 저작일
- 2007.04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대라 할 수 있을 만큼 영화, 음반, 광고, 스포츠 등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오락을 제공하는 “문화예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제 엔터테인먼트 산업시대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기획사 중심이 된 산업화’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획사들은 점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스타를 제조하는 기업체로 성장해 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팀별 과제를 통해 최대한 좋은 내용을 담기 위해 보고서를 준비를 해왔습니다. 그래서 사례분석은 학교 교수님들로부터 A학점을 받는 보고서입니다.
목차
개요
【Ⅰ 서론】
1. 과제 선정 배경
2. 기업 소개
3. 기업 연혁
4. 사업 실적
5. 경영 철학
6. 경영 비전
【Ⅱ 본론】
1. 마케팅 스토리
2. 마케팅 분석
(1)SWOT분석
(2)STP분석
(3)4Ps분석
3. 마케팅 성공사례
4. 최근 마케팅 전략(Global Business)
【Ⅲ 결론】
1. 결론
2. 향후 개선점
3. 견해 및 연구소감
【참고 문헌&자료】
본문내용
【Ⅰ서론】
1.과제 선정 배경
90년대 초반 ‘서태지와 아이들’을 필두로 점차 성장해 온 우리나라 음반시장도 세계를 무대로 뻗어 나가며 `한류`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며 더 이상 문화의 수용국이 아닌 새로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선도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대라 할 수 있을 만큼 영화, 음반, 광고, 스포츠 등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오락을 제공하는 “문화예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다. 이제 엔터테인먼트 산업시대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기획사 중심이 된 산업화’ 라고 할 수 있다. 기획사들은 점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스타를 제조하는 기업체로 성장해갔다. 지난 95년 ‘HOT’와 ‘SES’등을 발굴한 이수만 씨가 태표로 있는 ‘SM 엔터테인먼트’는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서서히 ‘산업’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표 1> 2000년 가요음반 시장 점유율 또한 삶의 질에 대한 추구하는 기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음반 산업 그 자체가 지적, 예술적 창조 능력에 의해 엄청난 부가가치가 창조 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객관적이고 일률적인 기술 수준에 의해 시장에서의 성공여부가 결정되는 기존의 제조업에 비해 그 잠재역과 가능성이 무한하다고 할 수 있는 이유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제학적 분석의 접근으로 세계문화상품시장에서의 경쟁력제고에 전략기반을 다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의 음반에 대한 산업으로써의 인식은 아직 부족했을 때, 그 선두 역할을 해냈고, 다른 한국의 연예업체들이 국내시장에만 머물러 있을 때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려 남들보다 앞서간 글로벌화 전략의 성공으로 문화산업의 수출의 선도자로 인정받고 있는 S.M ENTERTAINMENT의 성공요인과 마케팅 전략, 각각의 상품(가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의 성과를 짚어보고 그 향후 사업 개선 방향에 논해보려 한다.
참고 자료
송호근,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이수만 인터뷰내용)
장세진,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사례집2』(영양각출판사, 2004)
금융감독원 전자 공시 시스템 http://dart.fss.or.kr
SM엔터테인먼트 본사 홈페이지 http://www.smtown.com
삼성경제연구소, 2003.(도표)
중앙일보 세계일보(기사), 네이버 뉴스(동영상), 연예인 팬 카페(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