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격조사
- 최초 등록일
- 2009.10.17
- 최종 저작일
- 2009.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중세국어 격조사에 대한 설명과 현대국어와의 차이점에 대해 조사한 발표 자료 및 리포트.
목차
<조사의 개념>
<주격 조사>
<서술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본문내용
▶ 현대국어와의 주격조사 비교
현대국어의 주격조사 ‘가’는 15세기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1572년에 쓰인 것으로 생각되는 편지에 그 예라는 것이 나타난다. 또한 조사 ‘이’의 음운론적 이형태 즉, 음운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인 ‘가’ 가 17세기 이후 문헌에서 나타나는데 이 주격조사 ‘가’는 점차 모음으로 끝난 모든 체언과도 결합하여 주격조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현대국어에서 이 두 개의 관계는 음운론적 이형태 이다.
주격 조사 `이`와 `가`는 서로 교체하는 변이형들이다.
① 자음으로 끝난 형태소 + 이
② 모음으로 끝난 형태소 + 가
<목적격 조사>
:(대격조사, 부림자리토씨) 앞 말에 목적어의 자격을 부여. 기저형은 ‘ㄹ’이며 그 형태는 5가지로 나누어진다. {-/-을/-/-를/-ㄹ}
★목적격조사가 목적어 표시 기능을 갖는 데는 유의할 점이 있다.
첫째, 동족목적어를 나타내는 목적격조사 ‘ㄹ’
‘웃다, 자다’등은 본래 자동사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 동사류이다. 그러나 이 자동사들 은 같은 동사어간에서 파생된 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어, 제한된 타동사로 쓰이게 된 다. ‘-(夢), 츠-(舞)’등은 본래 타동사이지만 같은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 한정된 기능의 타동사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