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시 도시 및 지역분석(역사,인구&경제 성장발전)
- 최초 등록일
- 2009.07.22
- 최종 저작일
- 2008.06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경기도 안양시의 1992년부터 2005년까지의 통계청 자료를 통해 직접 분석하고
표 및 그래프를 만들었습니다. 발전과정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또 도시의 문제점 이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도 들어있습니다.
목차
1.안양시소개
1)유래및역사
2)위치ㆍ상징
3)자연ㆍ교통
4)교육ㆍ문화시설
2.안양시성장과발전
1)인구측면
(1)과거․현재로본미래
(2)연령계층별분석
2)경제측면
(1)안양시산업화과정
(2)경제기반분석
(3)지역경제분석
3.타지역과비교
1)인구측면비교
2)경제측면비교
(1)경제기반분석
(2)지역경제분석
4.결론
1)안양시의문제점
(1)주택문제
(2)교통문제
(3)환경문제
(4)범죄문제
2)해결방안
(1)도시재생이필요한이유
(2)도심재생의정의
(3)도심재생의필요성
(4)도심재생국내사례
(5)도심재생해외사례
본문내용
1. 안양시 소개
1) 유래 및 역사
문헌상에 등장하는 안양의 역사는 율목군으로 행정명칭이 있으나 이전의 삼국시대와 선사시대에 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1989년 평촌지역 문화유적 조사 시 석기시대의 각종 유물과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발견되어 안양지역의 오래된 주거근거를 알 수 있으며 청동기시대를 거쳐 원삼국시대에는 마한의 영토에서, 백제 근초고왕때에 백제의 영토가 되었다가 고구려 장수왕(394-491)때 한강연안 및 경기도 전 지역이 고구려 남쪽의 영토가 되었다.
안양(安養)이란 명칭은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창건된 안양사(安養寺)에서 유래되었다. 신라 효공왕 4년(900)에 궁예의 후예인 왕건이 금주(시흥)와 과주(과천)등의 지역을 징벌하기 위해 삼성산을 지나게 되었다. 이때 산꼭대기의 구름이 5가지 빛으로 채색을 이룬 것을 보고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살피게 했다. 구름 밑에서 능정이란 노스님을 만났는데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니 왕건의 뜻과 같으므로 이곳(만안구 석수1동 산 2번지 일대)에 안양사를 창건하게 되었다. 이 안양사로 인해 안양이란 명칭이 탄생하였다.
조선시대에 정조대왕께서 부친 사도세자의 능행을 위해 가설한 만안교의 안(安)자와 함께, 양(養)자는 후세사람에게 인륜의 근본인 효의 뜻을 살리기 위해 쓰여 진 것으로 짐작한다. 또한 1941년 시흥군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개칭되며 쓰였는데 안양이란 불교에서 마음을 편하게 하고 몸을 쉬게 하는 극락정토의 세계로 모든 일이 원만 구복하여 즐거움만 있고 괴로움은 없는 자유롭고 아늑한 이상향이다.
2) 위치 및 설명
안양시는 면적은 58.52㎢, 인구는 59만 5142명(2002)이다. 동쪽은 과천시·의왕시, 서쪽은 광명시·시흥시, 남쪽은 군포시, 북쪽은 서울특별시 금천구·관악구에 접한다.
3) 자연 및 교통
(1) 자연환경
안영시는 기반암은 주로 대보화강암·화강암질 및 반상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의 북쪽 끝에는 관악산(冠岳山:629m), 동쪽 끝에는 청계산(淸溪山:618m), 남서쪽 끝에는 수리산(修理山:475m) 등이 솟아 있고 중앙은 낮고 평탄하여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분지 지형을 이룬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