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굴곡법
- 최초 등록일
- 2002.03.18
- 최종 저작일
- 2002.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 굴곡의 가지
1. 일반성 :일정한 유형에 거의 재한 없이 붙을 수 있다.(파생의 가지와 다른 점)
2. 종류
3. 겹침
4. 의지하는 언어 형식의 종류
5. 보충법
(ii) 문법 범주
1. 문법의 의미론과 사전
2. 굴곡의 범주
3. 가지의 의미 파악의 어려움
4. 가지의 내용 기술 방법
5. 대립관계
6. 굴곡법의 분류
7. pragmatics(어용론)의 문제
8. 또 다른 문법 범주
본문내용
(i) 굴곡의 가지
1. 일반성 :일정한 유형에 거의 재한 없이 붙을 수 있다.(파생의 가지와 다른 점)
(ex) 영어: 복수나 소유격의 어미는 모든 이름씨에 붙을 수 있다.
삼인칭 단수를 나타내는 어미나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는 모든 움직씨에 붙을 수 있다.
국어: 모든 토씨는 임자씨에 거의 제한이 없이 붙을 수 있다.
주체높임의 [-으시-] 과거회상의[-더-]는 풀이씨에 거의 제한 없이 붙을 수 있다.
2. 종류
@ 음소(홀소리, 닿소리)로 된 것이 가장 일반적임.
=>뿌리에 따라 앞가지, 허릿가지, 뒷가지로 나뉜다.
① 앞가지
아프리카 콩고 스와힐리말의 경우에는 움직씨의 뿌리, 임자말, 뿌릿말, 때매김을 나타내는 앞가지가 붙어 한 낱말을 만들어 낸다.
[내가 : ni-] + [현재 : -na-] + [말하다 : -sem-] = [내가 말한다 : ninasema]
② 허릿가지
아라비아 말의 경우 떨어진 세 닿소리가 뿌리가 되고 그 앞 가운데 뒤에 다른 소리가 끼여들어서 한 낱말을 만든다.
(ex) 쓰다 [뿌리어] : /k-t-b/
=> 그가 쓴다 /yiktib/, 그 여자가 쓴다 /tiktib/
내가 쓴다 /kitabt/, 내가 썼다 / aktib/
③ 뒷가지
우리말의 안맺음(중간)씨끝과 맺음씨끝은 모두 굴곡의 뒷가지임. 토씨도 비슷한 성격.
영어이름의 복수나 소유격어미, 움직임의 3인칭 단수나 과거의 어미도 모두 뒷가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