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족 화합물
- 최초 등록일
- 2009.06.27
- 최종 저작일
- 2006.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gmldu****
14회 판매

소개글
방향족 화합물 개요 반응등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방향족화합물의 명명법
▪ 벤젠의 Kekule 구조
▪ 벤젠의 안정성
▪ Huckel 의 규칙 : (4n+2) π전자규칙
▪ 벤젠의 제법
▪ 벤젠의 반응
▪ 치환기가 있는 벤젠의 반응
▪ 방향성,반방향성, 그리고 비방향성 화합물
▪ 다중 고리형 방향족 화합물
▪ 생화학에서의 방향족 화합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케인, 알킨, 알카인류의 지방족탄소화합물과 구별되는 개념의 방향족 화합물(Aromatic Compounds)에 대한 연구는 영국의 화학자였던 Faraday에 의하여 1825년에 발견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당시의 구조론으로는 본성을 밝힐 수 없었던 몇 가지 화합물이 방향을 가진 데서 이 명칭이 부여되었다.
Faraday는 이 새로운 탄화수소를 수소의 bicarburet 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벤젠이라고 불린다. Faraday는 고래기름의 열분해에 의해서 얻어진 압축된 조명기체 로부터 벤젠을 분리하였다. 1834년 독일의 화학자인 Mitscherlich 는 벤조산을 산화칼슘과 함께 가열하여 벤젠을 합성하였다. 기체밀도 측정으로부터 Mitscherlich는 벤젠의 분자식이 C6H6임도 알아냈다.
Kekule는 초기의 방향족 화합물들이 모두 여섯 개의 탄소단위를 가지며 이 여섯 개의 탄소단위가 화학적 변형이나 분해과정에서 보존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결국에는 벤젠이 새로운 계통의 화합물의 모체가 됨을 알게 되었다.
방향족 화합물은 타르 속에 많이 존재 하는데, 반응성은 뚜렷하게 다르다. 예를 들면, 지방족화합물의 이중결합에서는 첨가반응이 잘 일어나지만, 벤젠에서는 첨가중합이 일어나기 어렵고 치환반응을 일으킨다. 이것은 방향족화합물의 특성이며 이와 같은 이유는 아래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벤젠 · 크실렌 · 톨루엔 등을 비롯하여 벤젠고리를 2개 이상 함유하는 것도 다수 존재하며, 비페닐 · 디페닐메테인 등과 같이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는 것과, 나프탈렌 · 안트라센 등과 같이 축합고리식 구조를 가진 것이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의 기본이 되는 것은 벤젠이며, 그 유도체로서 수많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있다.
아래에서 방향족 화합물의 구조와 명명법 반응성 및 여러 이론들을 다루면서 방향족 화합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