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부인대전양방(婦人大全良方)』, 『부인양방집요(婦人良方集要)』. 중국 송나라 진자명(陳自明)이 1237년에 편찬한 의서. 전 24권. 송나라 이전의 산부인과에 관한 저작을 정리 편집한 것으로, 조경(調經), 중질(衆疾), 구사(求嗣), 태교, 임신, 좌월(坐月), 난산, 산후 등 8문(門)(薛己本에는 候胎門이 많음)으로 나뉘어 있다. 매 문은 또 약간의 병증으로 나뉘어 있는데, 모두 200여 논(論)이 있고, 각 병의 병인(病因), 증후, 치료법을 설명하였다. 내용이 비교적 실용적이다. 이 책은 후에 명나라 설기(薛己)가 교주(校注)하여 이름을 『교주부인양방(校注婦人良方)』이라 하였으며, 내용을 부분적으로 첨삭한 외에, 안어(按語), 치험(治驗)을 추가하였다. 현재 인쇄본이 나와 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識別修制藥物法度
수치 법제 약물 법도를 식별함
凡藥有宜火、宜酒者,有用子、用皮者,有去子、去皮者,有去苗、蘆者,有別研入藥者,有煎成湯去滓後入者,若此之類,各各不同。
약은 불이 마땅함이 있고, 술이 의당함이 있고, 종자를 사용함이 있고, 껍질을 사용함이 있고, 씨를 제거함이 있고, 껍질을 제거함이 있고, 싹과 노두를 제거하며, 따로 갈아 약에 넣음이 있고, 달여 탕을 생성하고 찌꺼기를 제거한 뒤에 넣는 것이 있고 이런 종류가 각각 같지 않다.
今備於前,無復更注於逐方之下。
지금 앞에 준비된 듯이 다시 처방 아래에 다시 두지 않았다.
辰砂(如鏡面, 粉旋 粉旋이 원문에는 箭鏃(살촉 족{촉}; ⾦-총19획; zú)으로 되어 있다.
者爲上。) 雄黃(如雞冠,通明者爲上。) 雌黃(無夾石者爲上。)
石硫黃(如鵝兒黃色爲上,赤者名石亭脂) 伏龍肝(正對釜月下土 부월하토(釜月下土): 아궁이에서 오래도록 연소된 황토
是也。) 太陰玄精石
진사(거울면과 같고 화살촉과 같은 것이 상품이다.), 웅황(닭벼슬과 같고, 온통 밝은 것이 상품이다.), 자황(돌을 끼지 않음이 상품이다.), 석유황(거위알처럼 황색임이 상품이며 적색은 석정지라고 이름한다.), 복룡간(바로 솥 아래 흙이다.), 태음현정석이다.
以上並研,令極細如麪、無聲爲妙。
이상을 함께 갈아서 지극히 면처럼 곱게 하여 소리나지 않음이 오묘하다.
禹餘糧 代赭石 磁石(極細者妙) 自然銅 紫石英(有紫色如箭簇者爲上) 雲母石 太乙餘糧
우여량, 대자석, 자석(지극히 곱게 간 것이 오묘하다.), 자연동, 자석영(자색이 화살촉과 같은 것이 상품이다.), 운모석, 태을여량
以上並用火煆,令通赤,釅 釅(식초 엄; ⾣-총27획; yiàn)
醋淬,如此七次或十次,方可研令極細如麪,或用水飛 수비: 한약 포제법(炮製法)의 하나. 약재를 지극히 미세한 분말로 만드는 방법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약재에 물을 넣고 함께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만든 뒤, 여기에 다량의 물을 넉넉히 넣고 흔들어 놓으면 비교적 거친 입자는 곧 가라앉게 되고 고운 입자는 물 속에 섞여 떠 있게 된다. 이때 떠 있는 물을 따라 버리고 다시 가라앉힌 후, 위의 맑은 물을 쏟아 버리고 밑에 가라앉은 고운 가루만을 건조시키면 극히 미세한 분말만 남는다. 이 방법은 광물약(鑛物藥)에 많이 쓰이는데, 예를 들면 노감석(爐甘石) 등이다.
尤妙。
이상 약재를 불살라서 온통 적색으로 하여 식초에 담그길 이처럼 7차례 혹은 10차례를 하면 바로 갈아서 지극히 면처럼 곱게 갈고 혹은 수비하여 사용함이 더욱 오묘하다.
赤石脂 白石脂
적석지, 백석지
陽起石(有雲頭雨腳,輕松如野狼牙者,產於此地方可用。若是鋪茸茁角 鋪茸 茁(풀 처음 나는 모양 줄; ⾋-총9획; zhuó)角은 원문에 缺로 되어 있다.
者不可用。以上並用火煆,一出 出(날 출; ⼐-총5획; chū)은 원문에는 伏(엎드릴 복; ⼈-총6획; fú)으로 되어 있다.
時研如麪,或有生用者。)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