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북한 교육의 이념과 목적
1. 교육 이념
(1)「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의 교육이념
2.「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의 교육 이념
3.「어린이 보육 교양법」의 교육이념
Ⅱ. 교육 목적
Ⅲ. 북한의 교육정책
1. 북한 교육정책의 수립과 결정과정
2. 북한 교육정책의 변화 동향
(1) 정치 사상교육의 강화
(2) 과학 기술 교육의 강조
(3) 고등교육의 정예화 교육
(4) 성인을 위한 고등 교육의 확대
Ⅳ. 북한 교육 정책의 전망
본문내용
Ⅰ. 북한 교육의 이념과 목적
교육이념이란, 교육의 기본정신이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이러한 교육이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가 설정되며, 이것은 다시 각급 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표를 통해 교육과정 원리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북한 교육이 추구하는 이념과 목적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1. 교육 이념
북한의 교육 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바탕으로 한 주체사상이다. 이러한 교육이념은 정치적 노선이 변경됨에 따라 그 양태를 달리하여 왔다. 김일성 교시로 모든 것이 전달되는 북한의 이념 체제는 국내외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대체로 용이하게 모든 이념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북한은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을 수립하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식적인 이데올로기로 채택하여, 1960년대 주체사상이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정치, 경제, 교육 등 북한사회 전 영역에 걸쳐서 영향을 끼쳤다.
참고자료
· 고대평화연구소(1990), 북한 교육의 조명, 서울 : 법문사
· 교육부(1993), '통일교육지도자료', 서울 : 교육부
· 김동규(1988), 사회주의 교육학, 서울 : 도서출판 주류.
· 김형찬(1990), 북한의 주체교육사상, 서울 : 한백사
· 북한연구소(1986), 「북한총람, 1983-1985」, 서울 : 북한 연구소
· 손계림(1995), '북한교육의 발전과정과 최근의 개혁동향', 교육개발, 1995년 9월호 97호, 서울 : 한국 교육개발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