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연구의 방향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대상과 선정 이유 2
(1) 연구 대상 2
(2) 선정 이유 2
(3) 연구 대상에 대한 개관 3
3. 연구 활동 계획 및 경과 4
II. 청소년에 대한 이론적 배경 5
1. 청소년기의 특징 5
(1) 청소년기에 대한 정의 6
(2) 청소년기에 대한 개념의 다양성 6
(3) 제 2차 성징(性徵) 7
(4) 자아 정체감 8
(5) 신세대 9
2. 한국 청소년의 특징 11
(1) 청소년의 범위 11
(2) 청소년의 특징 12
3. 하위문화로서의 청소년 문화 13
(1) 1980년대 13
(2) 1990년대 14
III. 연구 내용 분석 15
1. 연예인 추종 현상을 통해 드러나는 청소년들의 도덕성 결여 양상 15
2. 면접법을 통한 청소년들의 연예인 선호 현상 관찰 17
IV. 결론 21
참고문헌 23
본문내용
그러나 최근에 청소년들의 연예인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이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크게는 최근 HOT의 해체에 대한 반발 시위로 청소년 팬들이 그들의 소속 기획사 앞에서 창문을 깨뜨리고 촬영 기자들의 필름을 빼앗는 등 격렬한 시위를 벌인 것을 비롯하여 CLICK-B의 팬 사인회에서 이동중인 이들을 쫓아가던 소녀가 압사한 사건, GOD 멤버 중 한 명의 가족과 팬클럽 임원에 대한 독극물 테러에서부터 작게는 연예인 쫓아다니기, 팬클럽간의 비방 등이 그것이다.
청소년 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그것을 발전시키며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힘써야 할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연예인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무비판적인 맹목적 추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양상이 현대 사회의 익명성, 기성세대의 패거리 문화 등과 맞물려 도덕성이 결여된 행동을 표출한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무척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 이춘재 외 『청년심리학』1988,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이선영, 『청소년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1996,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논문
· 최윤진, 이용교, 이용숙 『청소년 문화론』1992,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pp. 41∼42
· 김창남, 『하위 문화 집단의 대중문화 실천에 관한 연구』1993,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 67
· 김형곤 뮤직 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 문화에 대한 현장 기술지』1992,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창남 『하위 문화 집단의 대중문화 실천에 관한 일연구』1993, 서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양재영 『청소년 집단의 대중문화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1994, 서울,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국승표 『TV 오락 프로그램이 구축하는 즐거움과 수용에 대한 연구』1994,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