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학자들은 다가오는 21세기를‘빛의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광통신, 광메모리(CD), 표시 장치, 계측, 가공, 에너지 응용 등등 수많은 분야에 많이 실용화되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빛이 전기보다 우월한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빛은 이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 또, 전기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초장거리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그 외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이유들도 있다. 그러면 우선 왜 빛이 그토록 중요하게 떠오르는지 그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많은 과학자들이 빛을 이용하려는 것은 이미 알고 잘 알고 있듯, 빛이 가지고 있는 가장 뛰어난 장점인‘빛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는 이유 때문이다. 세계적인 과학자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어떤 물체도 빛의 속도를 넘어설 수 없다"는 사실에 토대를 두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만약 전자를 광자로 바꾸면 어떤 점이 좋을까? 우선 정보의 전달 속도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진다. 즉 빛의 속도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면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렇게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은 의문이 떠오를 것이다. "전자도 빛과 같이 1초에 30만 킬로미터를 움직이는데 왜 속도가 더 느릴까?" 전자는 빛과 똑같은 속도로 움직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