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 혁명사상에 관한 논문을 근거로 제가 직접 논문 작성법에 따라 각주와 참고문헌을 단 것입니다. 분량은 4페이지이며 물론 도입과 서론부분까지의 내용입니다.
각주와 참고 문헌은 정확히 단게 확실하니(제가 성격이 꼼꼼해서^^) 급하신 분들은 믿고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1 절 문제 제기
제 2 절 연구방법 및 대상
제 2 장 중국혁명의 사상사적 배경
제 1 절 유교의 이념적 갈등과 혁명사상
(1) 유교의 이념적 갈등
본문내용
제 1 절 문제 제기
20세기 전후의 중국은 수천 년 동안의 역사 속에서 대내•외적으로 가장 큰 갈등과 변화를 겪어야 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결과였지만 특히 청조내부의 문제, 서구열강의 제국주의적 침략, 이로 인한 한민족의 민족주의 대두 등이 큰 요인이었다. 그러나 중국 근•현대 혁명을 1919년 5•4 운동을 분기점으로 구민주주주의 혁명과 신민주주의 혁명 단계로 구분 할 때 항시 혁명의 원동력은 민중에게 있었다.
이는 중국 근•현대 혁명에 있어 앞서 지적한 요인들이 직접적 계기였지만 혁명의 근원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중국 전통사상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민중 은 고대로부터 부패한 왕조에 대해 저항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많은 반란의 경험 속에서 스스로를 물질적•정신적으로 무장시켜 왔던 것이다. 즉, 유교의 “천의 통치사상”, 종교의 “천년 왕조설”, 이에 따른 민중반란 등은 민중의식 속에 침투하여 사회변혁주체로서의 역할을 민중이 담당케 하였다.
참고 자료
Ⅰ. 單行本
김계일, 중국 민족 해방 운동과 통일 전선의 역사, 서울 : 사계절, 1987.
김만주, 조선조 정치사상연구, 인천 : 인하대학 출판부, 1982.
나창주, 중공정치론, 서울 : 박영사, 1985.
백낙청,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서울 : 창작과 비평사, 1981.
송영배, 중국사회사상사, 서울 : 한길사, 1986.
이영희, 중국백서, 서울 : 전예원, 1984.
정낙경, 중국권력투쟁론, 서울 : 대왕사, 1983.
진덕규역, 혁명과 사회체계, 서울 : 학문과 사상사, 1982.
한선모역, 중국 현대혁명사, 서울 : 청사, 1985.
Ⅱ. 論文
금종우, “손문의 삼민주의 연구,” 경북대 동양학 연구소, 1986.
김영준, “모택동의 혁명사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출판부, 1984.
박성기, “손문의 혁명사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0.
이병주, “중공민병제도연구,” 중소연구 제4輯, 한 대중소연구소, 1979.
조일문, “신해혁명전후의 중국정치사,” 중국연구 제1輯, 조대중국연구소, 1978.
최영, “모택동의 전략사상,” 중국문제 제 2輯, 한 대중국문제연구소,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