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호원, 「솟대신앙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6.
· 김정배, 「소도의 정치사적 의의」,『역사학보』79, 1978.
· 박순호, 「전북의 솟대고」,『한국민속학』18, 민속학회, 1985.
· 손진태, 「소도고」,『조선민족문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8.
· 이종철, 「장승과 솟대에 관한 고고민속학적 접근 시고」,『윤무병박사 회갑기념논총』, 1982.
· 이종철, 「경기지방 장승·솟대신앙」,『경기지방 장승·솟대신앙』,
· 국립민속박물관, 1988.
· 이필영,『솟대』, 대원사, 1998.
· 정승모,「영동지역 주민들의 골맥이성황 신앙」,『강원지방 장승·솟 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88.
· 「장승·솟대신앙의 역사적 고찰」,『충북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 민속박물관, 1994.
· 「벅수문화의 이해」,『벅수신앙 현지조사』, 국립광주 박물관, 1985.
· 「한국인과 어울어져 살아온 동물들」,『한국인의 발자취를 찾아서』, 집문당.
· 한규량,「한국선돌의 기능변천에 대한 연구」,『백산학보』28, 백산학 회, 1984.
· 김태곤,「한국민간신앙연구」,『한국무속총서』Ⅵ, 집문당, 1983.
· 장주근,「장승과 솟대」,『한국의 황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 박경하,「전북지방의 마을굿과 마을 공동체」,『답사여행의길잡이-전 북』,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베개, 1996.
· 김택규,「한국인의 농경신앙에 대하여」,『동양문화』10, 영남대 동양문 화연구소, 1969.
· 유동식, 「민속신앙과 불교신앙」,『민속종교와 한국문화』, 현대사상 사, 1978.
· 이융조, 「한국선사문화에서의 선돌의 성격」,『동방학지』46, 47, 48,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