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가족극 관점에서 본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 최초 등록일
- 2001.12.11
- 최종 저작일
- 2001.12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문
Ⅱ.『에밀리아 갈로티』는 가족 드라마인가?
Ⅲ. 18세기의 결혼과 가정
Ⅳ. 갈로티 가족
Ⅳ. 1. 오도아르도
Ⅳ. 2. 클라우디아
Ⅳ. 3. 에밀리아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레싱 Gotthold Ephraim Lessing의 희곡 『에밀리아 갈로티 Emilia Galotti』는 18세기 희곡 가운데 가장 논란이 많은 작품에 속한다. 논란의 초점은 이 작품의 소재와 직접적인 연관으로, 『에밀리아 갈로티』의 갈등을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대립으로 보느냐, 또는 단순히 부도덕과 도덕성의 대립으로 보느냐 하는 문제이다. 이 결과 이 작품이 정치극 Politisches St ck인지 또는 가족극 Familiendrama인지 학계에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레싱은 정치성을 가능한 배제하여 한 가정의 파탄을 내용으로 비극을 만들려고 했던 것 같다. 이 논문은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갈로티 가족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18세기의 가족 구조를 개괄해 볼 뿐 아니라 가족 서로간의 관계로 야기되는 재난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이 드라마가 정치극인지 가정극인지의 논란에 등장인물 개개인의 심층분석으로 가정극이란 해답을 내리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궁정 형태의 정치가 에밀리아의 가족과 대조되는 사실 이외에 작품의 정치적 성격은 취급하지 않고자 한다. 그리고 비극적 주인공의 문제 해결도 이 논문의 주제를 벗어난다.
참고 자료
김수용,『예술의 자율성과 부정의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장순란,「레싱의 독일비극 『에밀리아 갈로티』」,『독일문학』, 54집, 1994.
Lessing E. G., Emilia Galotti, Goldmann Klassiker, Hamburg, 1981.
Barner, Wilfried; Grimm, Gunter E.; Kiesel, Helmut und Krammer, Martin, Lessing. Epoche-Werke-Wirkung, M nchen, 1987.
Dosenheimer, Elise, Das deutsche soziale Drama von Lessing bis Sternheim, Darmstadt, 1974.
G bel, Klaus, Gotthold Ephraim Lessing. Emilia Galotti. Offene Dramaturgie. Zur Didaktik des klassischen Dramas, M nchen, 19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