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고구려 유민과 고선지
(1) 고구려 유민의 당으로의 이주 배경과 과정
(2) 고선지의 성장과 관직에서의 활동 (西征 이전)
2. 고선지의 서정(西征)
(1) 시대적 배경
(2) 1·2차 서정 (西征)과 탈라스 전투
(3) 서정(西征)의 역사적 의의
3. 탈라스 전투와 제지술(製紙術)의 전파(傳播)
4. 서정의 의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A.D. 668년 나·당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高句麗)가 멸망당한 뒤 이국(異國)땅인 당에 강제로 이주(移住)되어 많은 역경(逆境)과 차별속에서도 굳세게 살아간 고구려 유민(遺民)중에는 당대(當代)와 후세에 길이 빛날 위훈(偉勳)을 남긴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그들 가운데서도 특히 대당건설(大唐建設)에 위대한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중세 동서교류사(中世東西交流史)에 하나의 획(劃)을 그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고구려의 명장(名將) 고선지(高仙芝)이다. 그러나 이러한 빛나는 위훈(偉勳)에 비해 그에 관한 연구는 빈약하기 그지없다.
고선지에 관한 기록은 『新·舊唐書』의 간단한 열전(列傳)과 몇 편의 소논문 그리고 백과사전에 약간의 설명 정도이다. 이는 그가 '당객경(唐客卿)' 이어서 중국사서(中國史書)에서는 간단한 열전정도만 남기고 있고, 그가 군인 출신이기 때문에 어떠한 문집이나 저서를 남기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고에서는 고구려 유민들의 이주(移住)를 통해 고선지의 성장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서정(西征)중 중세 동서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탈라스전(戰)을 통해 그 의의와 서구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쓰는데 주(主)로 참고한 된 글은 무하마드 깐수(Muhamad Kansu) 교수의 『高仙芝의 西征』이라는 논고(論考)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