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과연 경제와 문화는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있는 것일까?
- 최초 등록일
- 2001.12.08
- 최종 저작일
- 2001.12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경제와 문화의 연관성
제 1장 사회자본과 자발적 사회성
제 2 절 포라니의 「생계적」패러다임
제 3절 홀파이크의「기능주의 」진화론
제 3장 중국과 일본의 사례
제1장 중국의 사례
제 2장 일본의 사례
제 4장 결 론
용 어
본문내용
제 1 장 서 론
사회 공학에 대한 기대가 사라진 오늘 진지한 관찰자라면 사실상 누구나 자유주의 정치, 경제 제도가 그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건강하고 역동적인 시민사회가 필요하다고 믿을 것이다. 시민사회, 기업, 자치 협회, 교육기관, 클럽, 노동조합, 자선단체, 교회를 비롯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중개 단체는 거꾸로 가족의 삶의 수단이다. 사람들은 시민사회가 가족에 부여하는 이 수단을 통해 자신의 문화 속에서 사회화되고 보다 넓은 사회 속에서 살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얻으며 사회의 지식과 가치를 세대에 걸쳐 물려줄 수 있게 된다.
'튼튼하고 안정된 가족 구조 나 영속성 있는 사회제도는 정부가 중앙은행이나 군대를 만들 듯이 법률을 재정 하여 만들어 낼 수 는 없다. 시민사회의 번성 여부는 국민의 기질 관습 도덕에 달려 있는 바 이런 특성은 의식적인 정치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문화에 대한 의식과 존중심을 키움으로써 배양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화의 중요성은 각 나라가 지닌 특수성의 한계를 넘어서 세계 경제와 국제 질서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질서에서 문화가 점점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새뮤엘 헌팅턴'이 이야기한 바 있다. '
참고 자료
프랜시스 후쿠야마, "트러스트" 한국경제 신문사,(1996).
이 충효, "경제와 문화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1989).
지 금종, "문화란 무엇인가?" 민족예술 1월호,(2000)
이 연정, "연구 리포트" 한국문화정책 개발원(2000)
Cutts, Robert L, "Capitalism in Japan : Cartels and Keiretsu" Harvard
Business Review 70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