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Ⅰ. 신도시 건설과 읍민대책
Ⅱ. 수전농업의 발전과 이앙법
1. 이앙법의 발전
2. 이앙법 보급의 원인
Ⅳ. 정조의 농업진흥정책
1. 정조의 황정타개와 수리정책
2. 3대 제언의 수축과 둔전경영
(1) 만석거·만년제와 대유둔 설치
(2) 축만제수축과 둔전 설치
(3) 둔전의 설치와 운영실태
결 론
본문내용
역사적으로 근대를 지향하는 시점인 18세기 후반에 즉위한 正祖(재위 1776∼1800) 는 같은 시기 유럽의 啓蒙絶對君主에 비견될 만한 인물이다. 정조가 정국을 주도한 18세기 후반의 조선사회는 농업생산력과 상업의 발달, 신분제의 동요와 새로운 사회 세력의 성장, 실학과 서민문화와 같은 새로운 문화 조류등 사회전반에 걸쳐 총체적 변화를 보인 역동적인 시기이다. 이러한 전환기에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가 정조에게 주어졌다.
참고 자료
<史料>
『世宗實錄』 『世祖實錄』 『正祖實錄』 『農事直設』
<單行本>
박광용, 1998,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이태진, 1986, 『한국사회사 연구』, 지식산업사
한영우, 1998, 『정조의 화성 행차 그 8일』, 호형출판
한국역사연구회편, 1995,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________________ 1996,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청년사
최홍규, 1997, 『정조의 화성건설』, 일지사
______, 2001, 『朝鮮後期鄕村社會硏究』, 一潮閣
유봉학, 1996,『꿈의 문화유산, 화성-정조대 역사 문화 재조명-』, 신구문화사
<論文>
유봉학, 1996, 「화성성역의 역사적 의의와 화성의 문화유산」, 제 10회 향토사 연 구 전국학술대회 발표문
______, 1998, 「화성」, 『한국사시민강좌』 제 23집, 일조각
康文煥, 1999, 「正祖代 水原의 大都會 發展과 經濟變化」, 韓國敎員대學校
문중양, 1995, 「朝鮮後期의 '水利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염정섭, 1994, 「15∼16세기 水田農法의 전개」, 『한국사론』31, 서울대학교
______, 1996, 「정조 후반 수리시설 축조와 둔전 경영」, 『韓國學報』제 28집, 一 志社
이태진, 1986, 「朝鮮時代 水牛·水車 부급 시도의 農業史的 의의」
______, 1993, 「儒學的 계몽 절대군주-」,『韓國史 市民講座』제 13집, 일조각
최홍규, 1991, 「조선후기 화성축조와 향촌사회의 제양상 -정조대의 수원지방문제와 『관수만록』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30
______, 1997, 「정조대의 화성경영과 장용외용 문제 -특히 읍민 대책과 관련하여 -」, 『경기사학』 제 2집
______, 1998, 「정조대 화성 성역의 경과」, 『정조사상연구』 창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