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顚倒의 논리
1. '나'와 '아내'와의 관계
2. '正午'와 '子正'
Ⅲ. 可逆의 논리
1. '나'의 외출
2. 마지막 외출에서 비상의 의미
Ⅳ. 맺는 말
본문내용
이상의 「날개」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많은 이론적 해명이 있었고, 대체로 한국소설의 새로운 경향으로 평가되었다. 한마디로 알 수 없는 소설 그러나 한국 문단에 주지적 경향이 최초로 결실을 보이기 시작한 증거라는 견해로 집약된다. 「날개」에 대한 접근법은 매우 다양하다. 작가 이상을 중심으로 그의 삶에서부터 작품에 접근해나가는 전기적 접근(고은의「이상평전」, 김윤식의「이상연구」등), 근대성을 바탕으로 이상의 정신 세계와 작품 세계를 이어나가는 심리적 접근(이어령의 「나르시스의 학살-이상의 시와 그 난해성」, 김승희의 「이상시 연구 -말하는 주체와 기호성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등), 형식주의나 구조주의로 작품을 읽어내는 형식적 접근, 미학적 접근, 철학적 접근이 이제껏 「날개」에 대한 분석의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참고 자료
A.A.mendilow, 『시간과 소설』, 大邦, 1983
고은, 『이상평전』, 청하, 1988.
김윤식, 『한국 근대문학의 이해』, 一志社, 1973
홍경표,「이상의 날개-그 구조와 상징형식」, 문학과 언어, 1980.1
이승훈, 「소설에 있어서의 시간-날개의 구조」, 현대문학, 1980.10
이승훈, 「날개의 구조분석」, 월간문학, 1981.2
이강언, 『한국 현대 소설의 전개』, 형설, 1992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일조각, 1977
이재선, 『한국문학의 원근법』, 민음사,1996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