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내용 소개
1. 언행장(言行章)
2. 효친장(孝親章)
3. 혼례장(婚禮章)
4. 부부장(夫婦章)
5. 모의장(母儀章)
6. 돈목장(敦睦章)
7. 염검장(廉儉章)
Ⅱ. 분석
1. 긍정적인 부분
2. 부정적인 부분
Ⅲ. 소감
본문내용
제 1권에 수록된 언행(言行)·효친(孝親)·혼례(婚禮)의 3장은 대부분이 오늘날도 여전히 요구되는 예절의 모습들이다.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있는 시대와 더불어 우리는 생각하고 말하는 것에 답답해하는 경향을 보이며, 오히려 생각나는 대로 말하는 것을 솔직하다고 칭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말이 인간관계에 있어 굉장히 중요하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함부로 말하지 말고 신실하게 하되 아첨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 주인 되는 사람이 가난하여 예의를 갖추지 못하고 젓국을 싱겁게 할 수도 있으니 주인이 보는 앞에서 국의 간을 맞추지 말라는 것은 상대방을 난처한 상황으로 몰리게 하지 않는 것도 예(禮)라는 측면에서 볼 때, 요즘처럼 상대방이 난처해하든 말든 내 소신대로, 상대방에게 단순히 직접적인 피해만 주지 않으면 된다는 식의 개인주의가 팽배한 사회에 한번쯤 되새겨 보아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