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진,『정책학원론』, 박영사, 1995, pp. 284∼295.
· 이민근,『사회복지정책론』, 학문사, 1997.
· 송근원, 김태성, 『사회복지정책론』, 2000, 나남출판.
· 미우라후미오, 『사회복지정책론-복지니드와 복지개혁』, 도서출판 신한, 1996.
· 국회 사무처,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 , 제 201호 - 제 208호, 1996.
· 기획예산위원회, 『국민과 함께 하는 국가 경영 혁신』, 대통령 업무 보고,1998.
· 김도훈 외, {시스템 다이나믹스}, 대영문화사, 1999.
· 노인철, 『의료 보험 제도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안,』, {보건 복지 포럼},1997, 9호.
· 박세정 외, 『고객 지향적 정부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고객 지향적 정부 구축을 위한 민관 합동 토론회』, 1996. 7. 5.
· 송근원, {사회 복지와 정책 과정}, 대영문화사 , 1994.
· 의료보험연합회, 『지역 의료 보험 연수 교재』,1996.
· 원석조,『농어촌 지역 의료 보험의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1998 12(1).
· 허만형, {복지가 경제를 살린다} , 홍익재, 1998.
· 오정수, 『영국에서의 커뮤니티 케어의 발전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 24호, 한국사회복지학회, 1994
· 오정수, 『영국 보수당정부의 사회정책 개혁전략과 평가』, 비교사회복지 제3집, 한림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편, 복지국가의 위기와 사회정책의 전망, 한울, 1996
·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회, 『사회복지 개론』 ,유풍출판사, 1999.
· 변시민, 『사회정책론』, 박영사, 1983, p. 9.
· 안해균, 『정책학원론』, 1995, pp.450∼466.
· Easton, The Political System. New York: John Wiley and Sons,1953.
· Hirschman, A., The Passions and The Interests. 김 승현 역, {열정과 이 해 관계}, 1997
· Seebohm Report, Report of the Committee on Local Authority and Allied Personal Social Services, HMSO, 1968
· A. Dunham, The New Community Organization, Thomas Y. Crowel, New York, 1970, p. 20.
· A. Kadushin, child Welfare Services, Macmillian, N. Y., 1980. P. 5.
· C. H. Weiss, Evaluation Research, New Jersey:Prentice-Hall, Inc., 1972, p.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