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의 상당 부분을 참고자료를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참고로 본인의 다른 생각이 있으셔서 덧붙인다면 좋은 논문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 군사대국화의 배경
(1)신 국제 질서 하에서의 기반
(2)국내의 경제적·인식적 기반
Ⅲ. 일본 군사대국화의 전개방향과 군사력 증강
(1)미·일 방위 협력 지침 개정
(2) 군사력의 비약적 강화
(3) 군사력 증강과 방위력 정비의 전개방향
1)신중기방책 정의 경위
2)신중기방의 의의
3) 계획의 방침
4) 기간부대의 재편
Ⅳ.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제한하는 요인들
(1) 대내적 제약
(2) 대외적 제약
Ⅴ. 결론 : 일본의 군사대국화의 평가와 전망
(1)경제제일주의
(2)대미관계의 지속
(3)점증적인 변화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우리는 일본의 군사력이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러한 군사력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또 우리나라에서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일본은 대외적으로는 군사 활동을 억제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지속하여 미국을 원조한다는 미명 하에 1990년대 이후로 군비를 점증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것은 냉전체제가 와해된 현시점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해 일본을 이용하려는 미국의 입장과 경제력에 비해 힘이 없는 정치적 역량을 확보하려는 일본의 이해가 부합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표면적 이유만으로 이 상황을 직시할 수는 없다. 이러한 일본의 군비 증강은 주위의 모든 국가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되어 있고 특히 남·북한 문제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참고자료
· 1. 김용서「상민국가 일본의 전략」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3
· 2. 김종헌 외 「미·중·일 대외정책」PUFS, 1998
· 3. 김도형 21세기 일본의 경제젹 위상 일본연구 농촌 제 8호
· 4. 공의식 현대 일본의 정치 세종출판사, 1998
· 5. 송용훈 일본의 군사대국화문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1996
· 6. 신조석 일본의 외교 정책 을유문화사, 1991
· 7. 신희석 日本의 외교정치 을유문화사, 1991
· 8. 와타나베 아키오 이재광 옮김 현대일본의 국제정책 일신사, 1998
· 9. W.G. 비즐리 장인성 옮김 일본 근현대 정치사 을유문화사, 1999
· 10. www. weapon-data. pe. kr 이성찬의 최신무기자료 ( 일본방위청의 신중기방의 내용.. )
· 인터넷
· www. bookoo. co. kr
· www. ksshim @ donga. com
· www. hdc @ yonhapnews. net
· www. dhamul. co. kr
· www. peacekorea. org
· www. jabo. c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