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 개화사상의 근대성에 대한 성격
- 최초 등록일
- 2001.12.05
- 최종 저작일
- 2001.12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000원
목차
Ⅰ. 서 론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본질
1. 개화사상의 형성배경
(1) 실학적 연원
(2) 외래사상의 수용
(3) 사회구조의 모순과 동요
(4)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2. 개화사상의 본질
(1) 문명개화에 대한 인식
(2) 부국강병의 추구
(3) 새로운 국제관의 성립
Ⅲ. 개화사상의 전개과정
1. 개국에서 임오군란까지
2. 임오군란기
3. 갑신정변기
Ⅳ. 혁신적 개화파 의 근대 지향성과 개혁운동
1. 혁신적 개화파의 근대 지향성
2. 혁신적 개화파의 개혁운동
(1) 정치적 개혁
(2) 사회적 개혁
(3) 경제적 개혁
3. 개화사상의 의의와 한계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序 論
開化思想이란 19세기 중엽이후 韓國社會가 안으로 兩班政治體制의 붕괴와 밖으로 資本主義列强의 侵略이라는 위기에 直面하게 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思想이었다.
새로운 유교철학인 朱子學을 건국이념으로 표방한 조선왕조는 政治制度와 社會行動體系 및 論理體系로서, 나아가서는 통합적인 統治 이데올로기로서, 주자학을 발전시키면서 정치 사회적 안정을 이루어 갔다. 그러나 정통 주자학의 이념체계는 통치에 있어 인간의 內面的인 心性에 집착한 나머지 점차 主觀主義的 修身論에 치우치게 되었는데, 이것은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친 사회·경제적 변화를 체제 내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壬午軍亂 이후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조선봉건사회의 사회·경제적 모순이 보다 根本的인 政治的 改革을 요구하게 되자 實學者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改革의 비젼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직화된 朱子學的 支配體制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현실적 인식이 부족했다.
봉건체제 내부의 모순은 1811년 홍경래의 난을 시발로 하는 농민운동으로 표출되었으며 1862년 壬戌民亂에 이르기까지 소규모의 민란이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농민운동은 기존의 봉건체제를 부정하는 일면을 내포하는 것이므로 정치·사회적 긴장과 갈등을 불러일으키지 않을 수 없었다.
참고 자료
1. 姜萬吉, 『고쳐 쓴 韓國近代史』, (서울 : 創作과 批評社, 1995)
2. 姜在彦, 『近代 韓國思想史 硏究』, (서울 : 한울, 1983)
3. 朴忠錫, 『韓國政治思想史』, (서울 : 三英社, 1982)
4. 白鍾基, 『韓國近代史硏究』, (서울 : 傳英社, 1985)
5. 李寬宇, 『初期開化思想硏究』, (서울 : 民族文化社, 1989)
6. 千寬宇, 『韓國의 開化思想』, (서울 : 三省出版社, 1978)
7. 崔永浩, 『甲申政變論』, 李基白 編, 『韓國史 市民講座』, 제7집, (서울 : 一潮閣, 1990)
8. 李昞林, 「개화사상의 형성에 관한 연구」, (博士學位論文,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