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New Round 출범...
2. New Round 현재 상황...
Ⅱ. 본 론
1. New Round의 출범 의의...
2. New Round의 의제에 대한 각국의 입장...
3. New Round에서 전자상거래 논의에 대하여...
Ⅲ. 결 론
1. WTO 뉴라운드의 전망
2. New Round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
3. 참 고 자 료...(G R. , B R. , C R. , T R.)
본문내용
2. New Round 현재의 상황
시애틀에서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지난 2000년 초부터 농업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우루과이 라운드협상 결과대로 추가적 자유화를 목표로 한 협상이 개시되었다.
금년 초부터 보다 활발하게 진행된 뉴라운드 협상 출범 논의는 지난 6월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개최된 미캙EU 정상회의에서 미국과 EU가 뉴라운드 협상 출범을 "공통의 전략적 목표(common strategic objective)"로 설정하고 "균형적 의제(balanced agenda)" 채택에 합의함으로써 급진전되었다.
그러나 협상출범 가능성을 밝게 하는 이와 같은 진전에도 불구하고, 인도, 말레이시아 등 강경 개도국들은 새로운 이슈의 의제 포함에 반대하였으며 이행문제를 선결조건으로 제시하는 등 뉴라운드의 조기출범에 부정적 입장을 취하였다.
7월말 하빈슨(Harbinson) 일반 이사회 의장이 소집하여 개최된 reality check회의(제네바)에서 각 국은 아직도 뉴라운드 출범을 낙관하기 어려울 정도로 이견이 좁혀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때문에 9월초 멕시코에서 일부 국가들만 참석하는 소규모 비공식 각료회의를 개최하여 뉴라운드 출범에 반대하는 개도국들을 대상으로 설득작업에 나섰다. 그리고 그 후 우리시간으로 9월 27일 새벽에 하빈슨
참고자료
· ○ 외교안보원발간자료, 뉴라운드 츨범과 한국의 대응과제.
· ○ 채 욱·서창배, "시애틀 각료회의 평가와 뉴라운드 전망", 「월간 KIEP세계경제」, 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2000.1
· ○ 채 욱, "WTO 뉴라운드의 의의와 전망",「월간 KIEP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1
· ○ 박번순, "뉴라운드 협상 논의 동향", World Report 제3호, 삼성경제연구소, 2000.03.07
· ○ 외교통상부 인터넷 사이트, 제1차, 제2차, 제3차 WTO각료회의 자료
· http://www.dairykorea.co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