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들어가는 말
II. 『향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독일내 수용
III. 『향수』의 이중부호화된 구조
IV. 희화화된 독창성과 천재사상
V. 좌절된 계몽주의
VI. 나오는 말
본문내용
II. 『향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독일내 수용
『향수』의 대중적 성공은 대단한 것이었다. 작품이 발표된 1985년부터 무려 10여년간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임을 입증하였다. 이 기간동안 전세계적으로 약 33개국어로 번역되면서, 약 800만권 이상이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세기 독일어 문학작품 가운데 최고의 대중적 인기를 누렸던 토마스 만의 『부덴부룩스일가』와 레마르크의 『서부전선 이상 없다』의 판매고를 훨씬 능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작품이 가진 이러한 대중적 인기가, 작품에 대한 전문가의 호평을 약속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지나친 판매량은 이들로 하여금 작품의 통속성에 대한 선입관을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 듯 하다. 진정으로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면 소수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야 한다는 선입견으로 인해, 대중으로부터 거둔 커다란 성공이 오히려 이 작품의 평가에 대한 인색한 결과를 낳고 말았다. 실제로 1997년까지 『향수』에 대한 본격적인 미학 비평은 독일에서 그리 많은 숫자를 기록하지 않았다. 본격적인 문예학의 논의의 가장자리로 밀려나고 말았다. 많은 독문학자들은 쥐스킨트에 대해 광범위하게 침묵하였다.
『향수』에 대한 평가의 인색함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우선 일차적으로 독일에서의 포스트모던 논의의 지체를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다. 독일에서의 포스트모던에 대한 논의는 다른
참고자료
· 김성곤: 『장미의 이름』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In: 외국문학 제21호, 1989, S. 74-102.
·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In: 서양의 지적운동. 김영한 임지현 편, 서울 1994, S. 659-692.
· 윤평중: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서울 1992.
· 정정호, 강내희 편: 포스트모더니즘론, 서울 1989.
· D rfler, Heinz: Wie zur Lekt re f hren? Er ffnungsvarianten, In: Der Deutschunterricht 48(H. 3), 1996, S. 11-21.
· Forster, Heinz/Riegel, Paul: Deutsche Literaturgeschichte Bd. 12, M nchen 1998, S.187-19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