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 제주 4.3 학살의 배경과 책임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의 아픈 현대사의 주제지요. 제주 4.3사건입니다.
사실, 4.3사건의 성격을 둘러싸고 많은 논쟁이 있지요. 각자의 정치적 입장에서... 하지만 모두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많은 제주도의 민간인들이 살상당했다는 것입니다.
이른바 제노사이드라고 하는 것. 이글은 이런 학살로서의 4.3사건의 배경과 책임에 대해 쓴 글입니다.
목차
머리말
1.거시적 배경
1)미국의 세계전략
2)미국의 한반도전략
3)제주도 상황
2.근시적 배경
1)학살과 초토화작전
2)초토화작전의 배경
3.학살의 책임
1)미군의 역할
2)이승만 정권의 역할
3)군인과 경찰 그리고 서북청년단
4)유격대 와 항쟁지도부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주 4·3사건이라 함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이는 작년 12월 16일 제정된 '제주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에 나타난 4·3에 대한 정의다. 그간 공산주의자들의 폭동이라고 강요해 온 현실을 생각한다면 1987년 6월 항쟁을 이후 우리 사회가 얼마나 더 진보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소재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제주 4·3사건은 위의 법이 필요할 만큼 너무도 많은 인명의 희생을 야기했다. 더구나 이런 많은 인명희생이 무력충돌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진압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초강경진압으로 인해 무고한 많은 사람들이 대량, 집단학살을 당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강정구, 『미국의 한반도전략과 조선의 분단: 4·3항쟁을 중심으로』, 제2회 국제학술심포지엄 - 제주 4.3 제50주년 기념 21세기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 1988
▶김창후, 「1948년 4·3항쟁, 봉기와 학살의 전모」, 『역사비평 봄호』, 역사비평사, 1992
▶김동만, 『제주4ㆍ3항쟁 진압작전과 주민학살』, 공동학술 발표 (역사문제 연구소, 제주 4ㆍ3연구소), 1994
▶서중석,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 『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1999
▶김종민, 「제주 4·3항쟁 - 대규모 민중학살의 진실」, 『역사비평 봄호』, 역사비평사, 1998
▶박명림, 「4·3 민중항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