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우리나라의 통화지표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우리나라 통화지표인 M1, M2, M3, M2A, M2B, MCT에 대해서 정리한 것입니다.
목차
우리나라의 통화지표.. < M1, M2, M3, M2A, M2B, MCT >
본문내용
통화란 전통적으로 재화나 서비스의 교환에 있어 모든 사람이 인정하는 교환의 수단(medium of exchange)인 동시에 계산단위(unit of account), 가치저장수단(store of value) 및 미래지급의 척도(standard of deferred payments)라고 정의된다. 통화는 수많은 경제주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경제거래를 매개하고 촉진한다는 점에서 경제활동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통화가 국민경제 전체 규모 등에 비해 너무 많다면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반대로 너무 적으면 금리가 오르고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각국의 중앙은행은 자기 나라의 통화가치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다. 통화가치를 안정시키고 경제활동을 원활하게 이끌기 위해서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통화의 총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경제지표란 경제생활 속에서 행해지는 경제행위를 주어진 목적에 따라 계량적으로 파악하고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통화지표란 시중에 통화가 얼마나 풀려 있는가를 수치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통화 신용정책의 기초 자료가 됨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