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과 환경] 광우병은 무엇인가?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광우병은 새로 생긴 질병인가?
2. 광우병의 정확한 병명은?
3. 한국에서도 발병한 예가 있는가?
4. 프리온이란 무엇인가?
5. 어떻게 프리온이 뇌에 손상을 주는가?
6. 광우병의 증상
7. 감염경로와 예방
8. 치료와 전망
9.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광우병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에 사람에게 이와 비슷한 병이 있었다. 쿠루(Kuru)라는 병이 뉴기니아 (the New Guinea highlands)에 있었다. 이 병은 1960년대 전에 이 지역의 원주민들이 많이 병에 걸렸다. 그러나 현재는 발병률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특이한 것은 이 지역 원주민들은 종교의식으로 사망한 사람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이러한 풍습이 사라지면서 발병률도 적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원인을 모를 때 이 병과 또 비슷한 병인 '크로츠펠트 -야콥 병' (CJD = Creutzfeldt-Jakob disease, 이병을 처음 기록한 사람의 이름을 딴 병명)을 함께 '만성(혹은 천천히 발병하는) 바이러스 병' (= slow virus diseases)이라고 하였다. 원인을 약 10여 년 전만 해도 원인불명의 바이러스로 인해 생긴다고 추측했기에 붙여진 이름이며 천천히 라는 말은 이병은 감염원에 접촉한 후 수십 년이 경과 후에 발병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광우병은 결코 새로 생긴 병이 아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