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관계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외교정책 기조 및 변화 추이
1. 외교정책 기조
2. 외교정책 변화추이
Ⅲ. 북-미공동선언
Ⅳ. 북한의 대미 정책
Ⅴ. 최근의 미국의 대북정책과 외교정책
1.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
2. NMD/TMD와 동아시아 평화 향방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북한은 90년대 들어 소련·동구권의 붕괴로 외교기반이 위축된데 이어 소련과 중국마저 한국과 수교함으로써 외교 고립상황에 직면하자 체제생존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미국과의 관계개선에 주력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은 93.3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과 국제 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거부하는 등 소위 「핵」카드를 활용하여 미국과 협상을 개시, 마침내 94.10 북한의 핵개발 동결과 미국측의 경수로 원자력발전소 건설 제공 그리고 양국간 관계 정상화 추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본합의서」에 극적으로 합의함으로써 대미관계 개선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98년 중반 북한의 금창리 지하핵 의혹시설 문제와 98.8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로 인한 미사일 문제가 미·북간 현안문제로 대두되면서 긴장이 일시 고조되기도 하였으나 금창리 문제는 북한의 현장방문 허용으로 해결되었고 미사일문제는 협상을 계속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00.6 남북 정상회담 이후 고위급 접촉을 통해 관계개선의 돌파구 마련에 주력하였는 바 사상 첫 미·북 외무장관 회담(7.28) 개최에 이어 조명록 군 총정치국장이 김정일 특사로 방미(10.8-12)하여 쌍방 현
참고 자료
) 국가정보원 http://www.nis.go.kr
) 박건영. 『관훈저널』. 관훈클럽 .2000년 겨울호
) 조선일보 nk조선 http://nk.chosun.com
) 서보혁(평화네트워크 평화문제연구회 회장). 시민정치아카데미 발표문(2000. 11. 15)
) 중앙일보 북한네트 http://nk.joins.com
)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http://www.peace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