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참고문헌까지 완비
목차
서론
본론
1.체벌의 개념
2.체벌의 교육철학적 논쟁
1) 플라톤의 찬성론
2) 퀸틸리아누스 반대론
3) 존 록의 절충론
3.체벌의 기능
1) 체벌의 기능
2) 체벌의 역기능
4.학교체벌의 현황
5.학교교육에서의 체벌 이유
결론
1.체벌 찬·반론에 대한 입장
2.체벌을 근절하기 위한 대안
3.19세기의 학교에서 20세기의 교사가 21세기의 학생을 …….
본문내용
1. 체벌의 개념
고대 사회로부터 전해온 생활 지도의 한 방편인 상과 벌은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체벌의 경우 신체에 직접적인 고통을 주는 면에서 그 교육적 기능에 대한 여러 가지 논란이 시대와 상황 그리고 교육 이념에 따라 있어 왔다. 본문에서는 박성로의 석사학위 논문, 국어대사전, 대한 교육 연합회, 벌의 심리적 측면을 통해 벌의 다양한 개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박성로는 "학생에 대한 체벌은 특정의 그릇된 행동을 제지하거나 특정의 그릇된 행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교사에 의하여 학생의 몸에 가해지는 불쾌한 경험 내지는 신체적 고통을 말한다."고 정의 한다.
국어 대사전에는 "체벌은 몸에 직접 고통을 주는 벌", 또는 "행위의 금지, 관습의 파기 등을 목적으로 하는 생체에 부여된 불쾌한 행동"이라고 하였다.
교육적이 체벌의 개념을 보다 구체적 방법으로 정의한 것을 보면 체벌은 "학업이 부진하거나 금지되어 있는 일을 범하였을 때와 같은 경우에 때리거나 세워두거나 식사를 시키지 않는 등의 신체적 고통을 주는 벌을 가함으로써 격려한다든가 그 비행을 교정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여 학교 체벌이 단순한 인과 응보의 의미 이상임을 시사하고 있다.
참고 자료
한국교육신문사
교육운동론
에밀
인성교육론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