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반도체와 한국경제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5년만의 반도체 불황
Ⅱ. 반도체 불황의 실상과 원인
1. 불황의 실상
2. 불황의 원인
3. 반도체 업계의 영향
Ⅲ. 반도체 쇼크와 한국경제
1. 반도체산업의 위상
2. 반도체 쇼크와 파급효과
Ⅳ.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 반도체 경기 전망
2. 시사점
본문내용
Ⅰ. 5년만의 반도체 불황
□ 최근 반도체 불황의 영향으로 국내 관련업체의 실적악화 및 투자위축과 함계, 수출부진이 심화되고 산업활동도 위축
□ 최근의 반도체 불황은 96~98년의 반도체 쇼크와 유사하지만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심각
- 최근의 불황은 과거와는 달리 공급과잉과 함께 심각한 수요부진이 동반되어 반도체 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이 추세가 지속될 우려
□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최근 반도체 경기 현황과 불황의 원인, 반도체 쇼크가 한국경제에 미친 파급효과, 그리고 향후 반도체 경기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함
Ⅱ. 반도체 불황 및 원인
1. 불황의 현상
□ 2000년 9월 이후 IT불황과 함께 폭락한 D램 가격은 현재까지 하락세 지속
- 2001년 8월 초 기준으로 북미 현물시장에서 128M D램 가격은 1.6∼1.8달러, 64M는 0.8∼1.25달러에 거래되어 1년여만에 1/10 수준으로 폭락
□ 2001년 세계 반도체 시장은 20% 이상 감소한 최악의 불황 예상
- 2001년 세계 반도체시장은 20% 이상 줄어든 1,600억 달러 정도이고, D램 시장은 약 150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절반 정도 줄어들 전망
- 96년 불황과 비교하면 전체 반도체 시장 감소율이 약 3배로 확대되고, D램 시장규모는 96년의 60% 수준으로 축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