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 설립 반대운동의 원인과 그 성격
- 최초 등록일
- 2000.12.03
- 최종 저작일
- 2000.12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머리말
2. 국립 서울종합대학 설립안 발의와 그 배경
(1) 경성제국대학 설립에서 미군정까지
(2) 국대안 발의의 사회적 배경
3. 국대안에 반영된 사회정치적 이념
(1) 국대안 발의의 현실적합성문제
(2) 국대안과 미군정의 지배적 정치이념
4. 국대안 반대운동의 전개
(1) 국대안 반대운동의 전개
(2) 국대안반대운동의 교육, 정치이념
5. 맺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방 직후에서 1948년 정부수립까지의 기간은 혼란의 시기였다. 이 시기는 좌우 이념 대립의 혼란기이자 남북의 분단이 더욱 현실화 되어 가는 시기였으며 또한 남북 각국의 향후 정체성이 결정되어 가는 시기였다.
이러한 혼란기에 교육계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바로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에 대한 반대운동이었다.(이하 국대안 반대운동)
국대안 반대운동은 미국의 한반도 운영이 정형화 되어 가는 시기와 비슷한 1946년 7월부터 1947년 10월 무렵에 걸쳐서 전개되었다는 점, 그리고 학원문제가 학원만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닌 국내외 정치문제와 얽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주목할 만한 학생운동이었다.
지금까지 국대안 반대운동에 대한 평가는 분단체제 하에서 구조화된 흑백논리에 따른 이데올로기적 단죄론이 지배적이었다. 즉, 국대안 반대운동은 좌익 정치・학생 세력이 자신의 세력확장을 위해 벌인 정치적 선동이었음을 강조하는 평가가 일반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대안 반대 운동에 대한 객관적 사실 인식과 그에 따른 정당한 평가를 해보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고,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국대안 반대운동은 민족운동, 혹은 민족교육운동의 일환으로 파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떠한 목적으로 국대안이 나오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국대안 반대운동의 대항 이데올로기적 성격은 무엇이며 학생운동사에서의 위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