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實學의 發展 】
- 최초 등록일
- 1999.02.19
- 최종 저작일
- 1999.0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壬辰倭亂을 비롯한 여러차례 外國의 侵掠으로 우리는 많은 피해를 입어 民生은 零落 되었으나 爲政者들은 中央權力의 약화를 미끼로 私利私慾을 채우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리하여 백성에 대한 착취와 수탈은 더욱 강화되고 타락한 統治者들은 黨爭만 일삼아 民生問題 해결에는 관심이 없었으며 封建官僚의 致富 수단인 토지의 兼倂과 政權의 爭奪에만 관심이 집중되고 策動과 流血事件을 이르켰다. 또 그들은 民生問題와 관계가 없는 문제들을 가지고 空理空談과 論爭을 거듭하여, 이로 因한 민생의 零落과 疲斃는 더욱 곤궁을 極할 때 憂國愛民의 입장에서 부폐타락한 爲政者들의 無能을 辛辣하게 폭로 비판하고 民主思想을 주장한 것이 實學者들이다. 先進的인 經世濟民의 사상을 제기하여 절박한 사회적요구를 반영하여 實事求是와 利用厚生의 學風을 일으켰다. 實學派의 實事求是와 利用厚生의 새로운 學風은 經世濟民思想임은 물론이지만 그것은 民本思想과 經濟制度의 改革 및 文化의 주체성등을 기본으로 한다. 또 實學발생의 간접적인 원인은 첫째 西歐의 自然科學과 技術發展에 영향을 받고 둘째는 明末의 黃宗羲, 顧炎武, 顔元등의 實事求是의 방법과 애국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淸朝의 考證學的 방법의 일부를 수용한 實學은 17世紀에 발생하여 18世紀에 이르러 발전을 보았다.
實學派는 柳磻溪를 鼻祖로 하고 李星湖를 거쳐 丁茶山에 이르러 集大成 되었다. 특히 이
學派를 통하여 西洋의 科學과 天主敎가 수용되어 封建制度를 타파하고 근대화를 촉진하는
힘이 길러졌다는 사실을 말하여 둔다. 그러나 이들은 政權擔當者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批判
者였기에 國家進運에 강력한 힘이되지 못한 안타까움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