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에 관한 논문
- 최초 등록일
- 2001.05.11
- 최종 저작일
- 2001.05
- 4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 및 현황
1. 용어 및 개념 정리
1.1 동성애와 동성연애
1.2 호모, 게이, 레즈비언
1.3 homosexuals, heterosexuals, bisexuals, trans-sexuals
1.4 Sodomy
1.5 동성애자들의 '동성애자론
2. 논의의 배경 및 현황
2.1 발단 및 현황
2.2 동성애론의 공격성
Ⅲ. 주요 쟁점들
1. 성정치(the Politics of Sexuality)
1.1 성정치란?
1.2 푸코의 계보학
1.3 성정치에서의 가족 이데올로기
1.4 타당성과 비약성
1.5 사실(de facto)과 당위(de jure)
1.6 SO WHAT?
1.7 다원화라는 획일성
2. 성적 정체성(Sexual Orientation)
2.1 성적 정체성이란?
2.2 심리학과 의학에서의 동성애 문제
2.3 성적 정체성은 주어지는가, 선택하는가?
2.4 성적 정체성은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3. 소수 집단으로서의 인권(Human Rights as Social Minority)
3.1 논의의 핵심
3.2 동성애 집단은 과연 소수 집단인가?
3.3 동성애자는 사회적인 약자인가?
4. AIDS와 동성애
4.1 AIDS의 발병과 동성애 관련설
4.2 AIDS는 성병이다.
4.3 AIDS는 성교의 방식과 관련되어 있다.
Ⅳ. 성윤리의 초석 다지기
1. 윤리의 기초
1.1 윤리를 말할 때 먼저 인정해야 할 몇 가지들
1.2 윤리의 몇 가지 특징들
2. 성윤리의 자리 매김을 위한 몇 가지 물음
2.1 성은 그 자체로 목적일 수 있는가?
2.2 성은 단순히 생식을 위한 도구이어야 하는가?
2.3 성은 궁극적으로 어떤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야 하는가?
2.4 성은 결혼 안에서만 정당한가?
3. 성윤리의 관점에서 본 동성애
3.1 동성애는 성욕 중심적 가치관에 입각해 있다.
3.2 현대의 동성애는 삽화적 현상에 불과하다.
3.3 동성애는 관계 파괴적이다.
3.4 동성애는 가치 파괴적이다.
Ⅴ. 결론을 대신하여…
본문내용
2.1 발단 및 현황
우리 나라의 동성애 논쟁은 지난 봄(95. 3. 27) 연세대 사회학과 대학원생이던 서동진 씨가 '연세춘추'에서 알림판을 통해 동성애자 모집 광고를 내면서부터 공개적이고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일이 있고 나서 우리 나라에서도 신원과 얼굴을 밝히는 동성애 활동가(Gay Activist)들이 속속 등장하였고, 기존의 동성애자 모임인 『친구사이』와 『끼리끼리』 외에 연세대의 『컴투게더(Come Together)』와 서울대의 『마음001』, 그리고 고려대의 『사람과 사람』이라는 동성애 동아리가 속속 만들어지고 있다. 이들 동아리는 기존의 동성애자 모임과
는 달리 공개적인 홍보와 함께 방송 출연에도 기꺼이 임하는 과감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 모임은 연합하여 『대학 동성애자 소식』이라는 계간지를 발행하고 있으며 지난 6월 26일에는 『한국 동성애자 인권 운동 협의회』를 결성하여 동성애 문제를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상황이 이렇게 급진전되자 언론 또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여론 수집과 형성에 발벗고 나서게 된다. 초기에는
'추적 60분'류의 프로그램에서 '고발'의 형식을 빌어 낙원동 문화를 폭로하는 수준이었으나(이때는 주로 AIDS 특
집과 관련하여 동성애가 다루어졌다), 최근에 들어서는 방송사마다 소위 객관성을 견지한다는 명분으로 동성애 문제를 다룬 특집을 공중파에 실어 경쟁적으로 내보내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