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01.05.10
- 최종 저작일
- 2001.05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개관
2. 연도별 한국 자동차 산업 역사.
3. 국산 자동차 이전 시대
4. 연도별 국산 자동차 모델
본문내용
한국 자동차(산업)의 역사
1. 개관
우리나라에서 자동차가 처음 운행되기 시작한 것은 1903년 고종황제가 외국공관을 통해 포드(Ford)를 1대 들여오면서 부터였다. 그러나 그 차는 유실되어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그뒤 1911년 황실용과 조선 총독부용으로 英國제 리무진(imousine)을 각각 1대씩 구입하였으며, 그 이후 조선 말기 개화의 물결을 타고 자동차 대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 당시 우리 나라의 기계공업분야는 불모지와 다름없었으므로 자동차 생산은 꿈조차 꿀 수도 없었다. 다만 운송사업이 시작됨에 따라 자동차 정비업이 싹트기 시작했다. 이 당시 인사동에 자리잡은 강천 자동차에서 왕실용 자동차 및 인력거를 수리하면서부터 정비는 시작되었다.
<생략>
45. 티뷰론(TIBURON) - 1996년 현대자동차
96년 4월 등장한 티뷰론은 국내 최초의 스포츠 쿠페로 엔진,
트랜스미션, 섀시 등을 독자개발하고 서스펜션은 포르쉐와 공동 개발해 스포츠성능을 높였다. 근육질의 스타일과 2.0ℓ DOHC 150마력 엔진의 최고시속 200km인 폭발적인 달리기로 화제를 모았고, 그때까지 미쓰비시 이클립스 등 수입 쿠페에 눈길을 보냈던 젊은층을 흡수하며 국내에 본격 스포츠 쿠페 시장을 열었다. 이로써 현대는 74년 토리노 모터쇼에서 발표했던 포니 쿠페(쥬지아로 디자인)를 양산하지 못했던 아쉬움을 티뷰론을 통해 풀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