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신앙 이야기
- 최초 등록일
- 2000.09.28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성기신앙이야기
서론-본론-의미-지역과 형태-민담으로 전해지는 성기 숭배사상-성기숭배의 형태-신앙적 제의 행위-결론
본문내용
성에 대한 신앙성은 성기신앙의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문화는 조선 초 유교가 자리잡기 시작하면서부터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한 근엄한 도덕정치와 삼강오륜에 바탕을 둔 생활규범이 강화되면서 억제되고 금기 부정한 것으로 통제되어 왔고 입에 오르내리는 것조차 점잖지 못한 상스러운 것으로 여겨졌으며 성기의 호칭도 원 이름대로 부를 수 없게 되면서 성기숭배의 민속이나 의례 유적들도 위축되고 소멸되는 현상을 낳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현재에는 쇠퇴하였지만 다산과 풍요, 종족보존, 나아가서는 쾌락을 추구하고 즐기는 문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뜻이 담겨진 성기신앙이 예전 민중들의 실생활속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잔존의 현상이나 의식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그 다양한 현장 이야기 중,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민간신앙터에서 행하는 당산제에는 성기 신앙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