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에 대한 논쟁
- 최초 등록일
- 2000.09.28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머리말
2.율법의 구성
1) 계명으로 구성된다
2) 율례로 구성된다
3) 규례로 구성된다
4) 법도로 구성된다
3.율법의 기능
1) 정죄기능이 있다
2) 사죄 기능이 있다
4.율법의 성질
1) 믿음으로 굳게 세우는 것이다
2) 거룩하며 의로우며 선한 것이다
5.율법의 시효
1) 그리스도가 마침이 되셨다
2) 주와 함께 죽을 때까지이다
본문내용
율법에 대한 신학적 논쟁은 초대교회 시대로부터 시작해서 종교개혁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어 오고 있는 문제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르는 교리적인 차이로 인한 교파 분열은 물론 신앙의 이질화 현상까지 빚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크게 나누어서 그 분류를 보면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기 때문에 율법대로 행하는 믿음만이 구원을 얻는다고 가르치는 극단주의적 율법주의 경향을 띠고 있는 자들이 있는가 하면 예수님께서 모든 율법을 다 이루시고 폐하셨으므로 이제는 율법은 필요가 없고 예수만 믿으면 구원을 얻는다고 가르치는 반 율법주의 즉 율법 폐기론자들이 있기도 하고 그런가 하면 구원은 믿음으로 얻었지만 구원받은 자는 마땅히 율법대로 지켜 행해야 한다고 가르치는 자칭 복음주의자들로서 그 중용을 채택하는 소위 복음과 율법을 조화있게 주장하는 자들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한 신앙인들의 신앙적 혼선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모두가 성경이 말하는 율법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 가져다 준 현상으로서 율법에 대한 성경적인 올바른 인식이 신앙생활에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그러면 이에 대한 성경의 명확한 해답은 무엇일까 로마서를 중심해서 율법의 구성 기능 성질 및 시효 등을 살펴서 그 해답을 구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