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0.09.27
- 최종 저작일
- 2000.09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농악의 유래
2. 농악의 내용
본문내용
농악은 우리나라 농촌의 대표적인 오락으로 오랜 세월 동안 민중 속에서 꽃피어 온 민중 악무이자 근로악무인 것이다. 농민들이 주로 즐기는 오락이라하여 <농악>이라 하는데,다른 이름으로는 <풍물>,<풍장>,<매구>,<두레>등 또는 <농상계>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농악의 유래에 대해여 흔히 고대 농경 사회의 파종기나 추수기에 있었던 제천의식 등의 축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 시기를 좀더 앞질러 보면, 수렵어로시대에 짐승을 좇으며 소리쳤을 함성이나 몽둥이 등의 타음, 포획후의 환호성,엉덩춤등에서 농악의 원초적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생활도구의 진보에 따라 소박한 형태의 타악기가 점차 개량,발전되어 오늘에 보이는사물-꽹과리,징,북,장고-이 첨가되었고, 아울러 그 장단도 단조한 가락에서 다채로운 가락으로 닦아져 왔으리라고 믿어진다. 예로부터 농악은 모심기 등의 농작시 뿐만 아니라 정초,단오,백중,추석 등의 명절날과 부락제,기타 민속놀이에 이르기가지 폭넓게 쓰여 왔다. 특히 농촌의 공동 노동제도인 <두레>의 기능을 활용하는 데에 적절히 활용되어 왔다. 즉, 협동작업시에 노동의 노고를 잊고 작업의 능률을 올릴뿐더러 협동 정신과 공동체적 연대감을 결속하여 마을간의 화목과 단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해 왔던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