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열린교육의의와 발전방향
- 최초 등록일
- 2000.09.23
- 최종 저작일
- 2000.09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목 차
1.들어가기
1)현대 사회의 특징
2)새로운 교육 방향의 모색
2.열린교육의 의미
1)열린교육의 철학적 기초와 유래
2)열린교육의 의미
3.열린교육의 실천 사례와 문제점
4.한국 열린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1)열린교육 확산에서 생기는 문제
2)열린교육 확산 배경의 문제
5.열린교육의 내용면과 형식면의 문제
<내용면>
<형식면>
6.열린교육을 위한 과제 및 개선방안
1)개방적 사고의 필요성
2)교육 행정가의 역할
3)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인사행정
4)학교 자치와 탄력적인 교육과정 운영
5)학교 시설과 교육자료의 개선과 다양화
6)교육재정의 확보
7.맺는말
본문내용
2. 열린교육의 의의
1) 열린교육(open education)의 철학적 기초와 유래
열린교육(open education)의 철학적 역사적 기원은 BC 5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의 산파법이라는 문답 형식의 교육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당시 소피스트들의 교사중심, 교재 중심의 주입식 교육과는 달리 "산파의 도움을 받아 산모가 아이를 분만하듯이 교사(산파)의 도움을 받아 아동(산모)이 진리를 발견하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고 alerhm, 아동중심의 자발적인 탐구와 발견교육을 하였다. 그 뒤를 이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강조하였고, 16세기 몽테뉴는 개별화 학습, 가장 진지한 활동으로서의 놀이를 강조하였다 영국의 철학자 로크는 일상생활 속의 감각적 경험을 강조하였고 체코의 철학자 코메니우스는 아동이 수업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아동에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18C 아동중심교육의 대표자인 루소는 그의 저서 에밀에서 교사를 조언자의 입장에 두고 아동의 자연스런 발달의 원리를 강조하는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주장하였다. 19세기에 들어와서 루소의 영향을 받은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등 이 아동의 전인적 발달, 경험을 중시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