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이동통신의 다이버시티 기법
- 최초 등록일
- 2000.09.18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이동통신의 다이버시티 기법
Fading 현상
다이버시티 기법의 개념
다이버시티 기법의 종류
ⓛ사이트 다이버시티 기법 (Site Diversity)
②공간 다이버시티 기법 (Space Diversity)
③편파 다이버시티 기법 (Polarization Diversity)
④시간 다이버시티 기법 (Time Diversity)
⑤주파수 다이버시티 기법 (Frequency Diversity)
본문내용
이동통신의 다이버시티 기법
셀룰라 및 개인휴대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의 총 가입자수가 지난 해 12월말 기준으로 1천만을 넘어섰다. 금년도 말이면 총 가입자수가 2천만을 육박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우리나라 인구 2명 가운데 한 명, 1가구 당 1대 이상으로 이동전화가 보급된 셈이다. 굳이 가입자 수가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주위를 둘러보면 `이동전화 천국` 이라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언제 어디서나 이동전화로 통화하는 장면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가 천장부지로 늘고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유선이 아닌 무선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편안한 이동전화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이용자에게 전선이나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유선전화처럼 이동통신시스템도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가입자들이 서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서로를 연결시켜주는 무선망(network)이 필요로 된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바로 무선망 기술이다. 이 무선망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이동전화 서비스의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무선망 설계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기지국이다. 기본적으로 통화영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수많은 기지국을 세워야하고 최적화된 위치선정이 중요하며, 또한 현재와 같이 가입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점에서 이동통신시스템의 용량(capacity)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도 많은 수의 기지국이 필요로 된다.
Fading 현상
이동통신은 유선통신과 달리 대기중을 통해 전파해 간다. 개인의 단말기 안테나를 통해 방사된 신호는 대기중을 통해 전파해 가면서 빌딩, 주택 등의 건물과 산, 강 등의 지형적인 장애물 등에 의해 감쇠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애물 등에 의해 반사 및 회절 되어진 신호는 하나의 경로를 통해 전파해 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경로를 통해 전파해 간다. 그러므로 기지국에서는 다중경로신호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