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한글창제의 역사적 의미
- 최초 등록일
- 2000.09.10
- 최종 저작일
- 2000.09
- 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에 관한 것을 레포트용으로 요약해 놓은 것입니다. 이렇게 정리된 것은 구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개화시대를 들어오면서 백성이 나라의 참된 주인이라는 생각이 자리를 잡아감으로써 이제 한글은 언문의 탈을 벗고 국문의 자리를 차지해 갔던 것이다. 그러나 국가수립이 되지 않자 한글을 지키고 연구하는 일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생각되게 되었다. 그래서 다분히 영웅주의적 성격을 띄게 되었다.
<한국문화사대계>언어․문학사 편에서 한글 창제의 동기를 ① 표기수단을 갖지 못한 백성들에게 표기수단을 주기 위하여, ② 문자 없는 국가적 체면을 생각해서, ③ 이두사용의 불편을 느껴, ④ 세종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⑤ 한자음 정리를 위한 언어정책적인 면 등을 들고 있다.
이 밖에도 <한국사대판>과 <한국사신론>, <한국통사> 등에서 다르게 그 동기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동기론들을 역사적 의미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고유의 문자를 가지지 못한 국가적 체면과 여기에서 나온 민족의식의 문제, 둘째 백성이 글을 알지 못하여 백성 스스로가 불편하였거나 혹은 치자층과 백성들 사이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아서 불편하였던 점, 셋째 글을 모르는 백성들의 처지를 세종대왕이 어여쁘게 혹은 애닯게 여긴 점 등이 그것이다.
우리는 한글이 창제된 시기 즉15세기의 우리 문화 일반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더욱 분명히 해야하고,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 있는 전시대적인 역사인식 태도의 청산을 한층 더 철저히 해야겠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던 한글 창제 동기론 가운데 고유한 문자를 가지지 못한 국가적 체면 때문에 한글을 만들었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자. 그러나 양반국가라며 자부심이 강했던 우리나라가 체면 때문이라면 분명 양반의 문자를 만들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 백성도 쓸 수 있게 만들었다면 그것은 납득되지 않는 점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