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행정문화
- 최초 등록일
- 2000.08.15
- 최종 저작일
- 1997.01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한국행정문화의 이론적 기초
1 행정문화의 개념
2. 행정문화의 특징
3. 한국행정문화의 사상적 배경
Ⅲ. 한국행정문화의 특성과 행정 행태
1 권위주의 4. 운명주의
2. 가족주의 5. 온정주의
3. 의식주의 6. 비물질주의
Ⅳ. 한국행정문화 쇄신방향
1. 쇄신의 필요성
2. 쇄신전략
Ⅴ. 결론
본문내용
1. 硏究의 目的
한국의 행정체제는 1945년 이후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改革을 단행하였으나 그 주요 내용은 機構改編이나 事務簡素化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행정에 있어서 改革 및 近代化의 成敗는 구조적 측면의 개선에만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관료들의 行態나 態度(行政文化)의 변화에 더욱 직결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한국의 官僚制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바람직스럽지 못한 行態나 逆機能은 거의 뿌리깊은 傳統的價値에서 유래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행정상의 改革 또는 近代化를 구조적 측면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精神化的 側面 등에 확대하여 考慮 했다면 한국의 행정문화는 지금과는 사뭇 다른 樣相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行政文化(administrative culture)는 국민의 내면에 자리잡은 행정에 대한 價値·態度·信念의 복합체이므로 "왜 우리의 行政體制에서 그러한 行政行態 나타나게 되며 앞으로는 어떠한 行政行態가 나타날 것인가" "왜 동일한 行政制度를 가진 行政體制間에 상이한 행정적 産出이 導出되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준다. 이는 행정에 있어서의 最大變數인, 행정인이 만들고 變化·消滅시키는 行政文化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로부터 가능하다. 그러한 후에야 행정에 있어서의 당면과제 및 未來豫測과 比較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行政文化에 관한 사실적이고도 현실적인 인식은 行政現狀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捷徑이며, 행정 발전과 국가 발전과 국가 발전을 위한 必須要素이기도 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