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라말의 사회변동과 그 의미(골품제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0.07.13
- 최종 저작일
- 1997.01
- 3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사회변동의 원인
2. 골품제의 기원과 성립
3. 골품제의 사회적 기능
4. 골품제의 사회적 성격
5. 골품제의 소멸
6. 맺음말
본문내용
1. 사회변동의 원인
신라말 사회 변동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 신분제의 모순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신라 사회의 질서를 유지해 주던 골품제가 그 기능면에서 모순을 발생시켰고 그러한 모순이 사회의 변동과 신라사회 기반의 붕괴를 야기한다. 그것은 유연적이지 못하고 폐쇠적인 사회구조에 기인한다. 골품제의 발생과 사회 변동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2. 골품제의 기원과 성립
골품제는 언제부터 제도화되었다는 기록이 없기 때문에 만들어진 시기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율령이 반포되고 관리들의 관복제(官服制)가 마련되는 법흥왕(法興王) 7년(520)에는 그 이전의 숙성과정을 거쳐 제도로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있다. 이처럼 골품제는 520년에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신라의 초기 국가 형성과정에 만들어졌던 신분제가 발전되어 새롭게 편성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경주 중심부에 위치한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법흥왕부터는 왕릉을 경주 중심부에 만들지 않았다. 따라서 경주 중심부에 있는 적석목곽분의 주인공들은 골품제 편성 이전의 왕을 비롯한 지배세력들이 분명하다. 그와 같은 고분은 법흥왕 이전에 이미 신분제가 존재하였던 사실을 말해준다. 골품제의 편성시기와 편성원인, 배경에 대한 내용을 보면 대체로 국가형성기를 골품제가 편성되기 시작한 때로 보는 견해들이 주를 이룬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