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상용혈 자침요령
- 최초 등록일
- 2000.06.30
- 최종 저작일
- 1997.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사間使 : 斜刺-몸통의 병을 치료할 때는 針尖을 약간 橈側의 위로 향해 1.5-2寸 斜刺,
得氣後에 捻針을 하면 뻐근하고 우리한 침감이 온 팔과 겨드랑이까지 퍼짐,
손목의 병일때는 밑을 향해 斜刺, 直刺는 0.5-1寸 直刺
간수肝兪 : 直刺-척추를 향해 약간 비스듬히 0.5-1寸정도 刺入,
橫刺-위에서 밑으로 근육층을 따라서 1-2寸정도 투자,
直刺로 너무 깊이 刺入하거나 針尖을 바깥쪽으로 너무 깊이 刺入하면 肝,脾,膵臟을 상할 우려
거골巨骨 : 약간 바깥쪽의 밑을 향해 直刺로 1-1.5寸정도 刺入. 아무런 저항없이 잘 들어감.
거궐巨闕 : 약간 밑을 향해 1-1.5寸정도 斜刺, 針尖을 위로 올려 斜刺해서는 안되고, 肝이 부운 환자나
심장이 비대한 환자도 깊이 刺入해서는 안된다.
거료居髎 : 側臥位로 刺鍼하는데, 斜刺로 股關節을 향해 2-3寸정도 刺入
격수膈兪 : 直刺-척추를 향해 약간 비스듬히 0.5-1寸정도 刺入,
橫刺-위에서 밑으로 근육층을 따라서 1-2寸정도 투자, 直刺로 너무 깊이 刺入하거나 針尖을
바깥쪽으로 너무 깊이 刺入하면 肝이나 脾臟을 상할 우려
견료肩髎 : 直刺-肩關節炎의 치료시 팔을 들고 밖으로 돌려 견봉과 상완골 대결절 사이를 따라서 極泉 穴을 향해 1.5-2寸 刺入하거나 極泉穴까지 투자,
斜刺-肩關節 주위가 아파서 치료할 때는 끝으로 향해 2-3치정도 斜刺로 刺入.
견우肩髃 : 直刺-상지신경통 및 마비의 치료시는 팔꿈치를 구부리고 팔을 어깨높이 든 자세에서 겨드랑 이 밑의 極泉穴을 향해 直刺로 2-3寸정도 투자. 棘上筋의 筋腱炎의 치료에는 팔을 내린 자 세로 견봉과 상완골의 대결절사이에 수평으로 0.7-1정도 直刺로 刺鍼한다.
斜刺-견관절 주위가 아플때는 肩髎穴 및 三角筋의 방향으로 향해 2-3寸정도 斜刺,
橫刺-팔을 밖으로 돌린 자세로 견제하면 삼각근의 방향으로 2-3寸 정도 橫刺로 투자할 수 있다.
견정肩貞 : 근육이 부드러운 곳으로 刺入이 잘됨, 팔을 늘어뜨리고 겨드랑이를 딱 붙인 자세로하여
針尖은 앞을 향해 똑바로 깊이 1.5-2寸을 直刺한다.
견정肩井 : 直刺로 0.5-1寸정도 刺入, 내부에는 肺尖이 있으므로 深刺해서는 안된다, 肩井穴은 暈鍼이 잘 일어난다 하여 刺鍼을 꺼려하는데, 이는 너무 깊이 刺入하면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추골동맥 을 자극하여 동맥륜이 수축하여 일시적인 뇌빈혈을 일으킨 것으로, 深刺만 하지않으면 無妨
견중수肩中兪 : 直刺로 0.5-0.8寸 刺入하거나 病痛이 있는 곳을 향해 0.8-1寸정도 斜刺,
바깥쪽을 향해 너무 深刺하면 肺가 자상될 염려가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