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과학기술 연구방향
- 최초 등록일
- 2000.06.11
- 최종 저작일
- 2000.06
- 1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나라 농업과학의 연구방향
목차
1.서론
2. 우리나라 농업교육•연구조직의 변천
3. 농업과학기술의 연구업적(Ⅰ) / 농업과학기술의 연구업적(Ⅱ)
4. 우리나라 농업과학기술의 연구방향
5.결론
본문내용
2천년기(2nd millennium) 후반으로 들어서면서 급격히 발전하여온 산업사회는 생명공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러는 새 지평을 가지고 21세기로 넘어가면서 3천년기(3rd millennium)로 들어서고 있다. 인류의 농업 발전역사 1만년중에서 2천년이 시간적으로는 얼마되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농업이 많이 발전하였다. 그러나 농업기술의 발전에 비하면 일반산업 기술은, 특히 최근 수세기동안에, 매우 특징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거쳐왔다. 일반 산업의 발전 규범이었던 규격화, 분업화, 동시화, 집중화, 거대화, 중앙집권화 등은 그의 반규볌인 탈규격화, 복합화, 時差多樣化, 분산화, 소규모화, 지방분권화 등의 추세를 견하게 되어 현재 사회는 이미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화 사회로 들어가고 있다.
생명공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위와 같은 산업발전의 경향에 기름을 쳤을 뿐만 아니라 농산업을 일반 산업의 테두리안으로 끌어들이는 역할도 하게 되었다. 농업도 일반산업의 경영기술을 도입하여 시간적으로 한박자 늦게나마 규격화, 분업화, 집중화, 거대화, 중앙집권화 등의 경향을 따라가고 있다. 농업이 생존의 수단이었을 때에는 일차 산업으로서 일반 산업에 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만족하였지만 농업은 A. Thare(Noguchi, 1975)가 정의한 바와 같이 "식물성 및 동물성 물질을 생산하고 이것을 가공하여 판매하거나 교환하여 수익을 거두는 생업"으로서 인류사회에서는 불가결의 복합산업인 것이다. 농업이 한 개의 산업으로서 경쟁, 생존하려면 일반 산업의 규법과 반규범을 따라서 발전하여 벙보화 사회에 적응하여 지식화 사회로의 길을 찾아야 될 것이다.
21세기형 선도산업으로 ① 반도체, 레이저, 電荷結合素子, 薄膜트랜지스터 등 광학적 기술산업, ② 광케이블에 의한 정보 네트워크로 소위 visual-intelligent-personal multimedia 산업, ③ 가정간호, 특수건강시설 등 건강복지 산업, ④ 태양열발전, 환경오염의 감소화 등 환경 및 청정에너지 산업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농업과학은 이들 21세기 선도산업들을 포섭하여 스스로 21세기형 농업기술로 키원 나가야 할 것이다. 광학적 신기술은 동식물 생산이나 가공 또는 환경제어와 결합하여 인류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정보네트워크 산업은 농업 정보유통과 환경조정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농업이 지식화 사회에 자리잡는데 순기능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