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사회 변동
- 최초 등록일
- 1999.10.30
- 최종 저작일
- 1999.10
- 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기독교와 사회 변동
본문내용
조선 시대는 유교적인 지배 질서에 대한 사회적인 안정이 굳어진 사회였다. 그러나 유교적인 지배 질서에 근거한 신분 구조의 해체 현상으로 조선 사회의 짜임새가 찌그러지게 되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황폐한 농촌의 전답과 인구의 감소에 따른 노동력의 부족 등으로 야기된 국가 재정상의 문제는 모든 계층으로 파급되어 경제적인 곤란을 빚었다. 이러한 경제적인 곤란은 신분 질서의 난맥상을 초래하여 사회 질서 자체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이런 와중에서 사회 비평을 보다 광범위한 세계관에 연결시키면서 근본적으로 조선 사회의 질서에 도전할 수 있었던 천주교의 전래와 전개 그리고 동학의 성립도 조선 사회의 이러한 구조적 긴장과 이어져 있다. 또한 개항 이후 바깥 세계로부터의 긴장도 나타나 사회의 뼈대가 더욱 흔들리고 사회적 긴장과 갈등이 심화되어 조선 사회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 개신교 기독교가 들어섰던 것이다. 유교라는 종교가 사회 전체에 스며들어 조선 사회가 용해되어 있었던 만큼, 그 어느 부분이라도 개혁, 변형시키려면 유교가 아닌 다른 종교로부터 유교에 필적할 만한 정당성의 근거를 끌어 내어야 했다. 기독교는 유교가 자아내었던 "옛" 정당성에 맞설 수 있는 "새" 종교적 정당성을 자아내었던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