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크의 통치론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1999.10.16
- 최종 저작일
- 1999.10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로크의 통치론에 관하여
본문내용
로크는 자신의 국가관을 [통치술에 관한 두 가지의 논문-통치론]에서 밝히고 있다. 이 논문 중 첫번째 것은 로버트 필머스 경의 가부장설(家父長說)에 대한 반론이다. 이 학설에 의하면 왕권은 가족과 토지를 모두 엄밀한 뜻의 재산으로서 소유하고 있는 가장의 권력과 같은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정치권력이란 자연상태로 부터 '모든 개인의 동의에 의해서' 성립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상태'란 그의 정치이론의 대 전제가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 자연상태란 말이 나왔는데,자연상태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통치술에 관한 두 번째의 논문에서 자기의 독자적인 견해를 적극적으로 서술한 것은 자유의 이념에 이바지 한 바가 크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자연상태는 평등한 것이다. 그 곳에서의 일체의 권력은 상호적인 것이며,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권력을 갖는 일은 없다. 모든 사람들은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