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olution 개념변화
- 최초 등록일
- 1999.10.04
- 최종 저작일
- 1999.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Ⅰ. revolution의 근대적 개념의 성립
Ⅱ. 프랑스혁명과 그 영향
Ⅲ. 혁명의 사회적 개념과 Marxism
Ⅳ. Marxism과 Non-Marxism의 상호 영향
Ⅴ. 러시아혁명과 그 영향
Ⅵ. 맺는 말에 대신하여
본문내용
이 정치적 용어로서의 의미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것은 영국에서 일어난 여러 사건(Charles 2세의 王政復古, 청교도혁명, 명예혁명 등)에 대한 서술과 평가를 통해서이다. Charles 2세가 영국에 돌아와서(1660) 행한 공식선언에서 "영국은 그 동안 여러번의 큰 revolution을 겪었다"고 말하였는 데 여기서 revolution은 여러번의 정치적 변화를 가리키는 사실적·중립적인 낱말이었다. 한편 그 정치적 변화의 원인 설명에도 revolution이 사용되었다. T.Hobbes는 {비히머스}의 [제 4대화]에서 revolution을 '주권이 죽은 왕에서 두 찬탈자를 거쳐 그의 아들로 돌아간 주권의 순환운동'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였으며, 명예혁명(1688)의 정당성을 논증하는 것과 영국에 入憲君主制를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었던 J.Locke는 {정부론}에서 "명예혁명은 영국의 옛 참 헌법으로 돌아간 것이기 때문에 revolution이다"라고 말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