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개론 생각해볼 문제 풀이
- 최초 등록일
- 1998.10.29
- 최종 저작일
- 1998.10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제학 개론 생각해볼 문제 풀이
담당교수 : 이승훈
생각해 볼 문제 - 제 1 장 -
1-1. 봄철에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농부는 그해에 가장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작물
을 선택해서 씨를 뿌린다. 즉 시장에서 가장 稀少하기 때문에 가장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작물로 골라 파종을
하게 된다. 그래서 一見 김장 배추 가격의 폭락 문제도 稀少性으로 인해 제기되는 문제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단지 희소성의 문제만으로 단정지을 수 없다. 工業 生産品의 경우에 生産 期間이 짧기 때문에 시장에서
過剩 生産으로 인한 價格 暴落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금방 생산량을 줄임으로써 손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생
산을 잠시 中止시키거나 생산된 물품을 창고에 쌓아 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팔 수가 있다. 하지만 농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문제가 다르다. 우선 농업은 生産 期間이 길다. 즉 연초에 한번 씨를 뿌리면 나중에 그것을 수확해서 시
장에 팔 때 價格 暴落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다른 작물을 생산해서 팔 수가 없다. 한번 농산품을 생산하려면
보통 일 년의 생산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른 작물을 생산해서 그 시장에 다시 팔 수가 없다. 그리고 농업
은 계절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확기에 다다라서 가격 폭락이 예상되더라도 밭을 갈아엎고 다시 다른 작물로 생산
하거나 생산을 잠시 中止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농산품의 貯藏 技術이 비록 발달하고는 있지만 많은 경
우에 있어서 貯藏性이 떨어지기 때문에 價格 暴落 사태가 잠잠해지기를 기다리면서 창고에 물품을 쌓아 두었다가
다시 그것을 꺼내서 팔 수는 없다. 이러한 농산품 생산의 特殊性을 감안할 때 위의 문제를 단지 稀少性의 문제로
만 치부할 수 없다. 위의 문제에는 농산품 생산의 특성인 ' 生産 期間이 길다는 점, 한번 생산하면 중간 과정에서
中止 시킬 수 없다는 점, 농업 생산품의 貯藏性이 떨어진다는 점' 등이 깊이 개입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