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부터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착수한 한국경제는 개발초기에 주요물자부족을 타개하고 경제자립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대내지향적 개발전략을 시도하였으나, 國內需要의 부족, 內資부족에 따른 인플레이션의 발생, 外換부족등으로 실패하자 1960년대 후반부터는 수출지향적인 개발전략을 채택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즉, 輸出확대에 의하여 輸入능력이 확대되었으며 이는 賦存자원이 부족한 한국의 경
제성장율을 높여 주게 되었다. 높은 경제성장은 국내저축을 蓄積시키고 국가재정수입도
증대시켜 주었다. 이른바 경제성장의 기본적 제약요인이라 할수 있는 對內的 不均衡要
因인 投資와 저축의 갭을 축소시키고 對外的 不均衡要因인 수입과 수출의 갭을 동시에
축소시켜 주었다.
이러한 對外 지향적 개발전략 (outward looking development strategy) 은 높은 경제성
장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實證的 경험을 하게 된 정부의 개발정책입안자들과 企業
家 집단은 1970년대에 추진된 제 3차, 제 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도 수출의 지속적
확대를 통한 고도의 경제성장달성을 개발전략의 主軸으로 설정하는데 넓은 공감대를 갖
게되었다. 이러한 공감대를 토대로 3공화국에서는 可視的 경제개발성과에 치중하여 경
제력집중현상이나 所得分配의 不平等문제 등에 제도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양적성장을
극대화 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3공화국이 붕괴 되면서 1979년-1981년의 過渡期 동안 역의 경제성장,폭발적인 물가
상승, 국제수지적자확대의 3중고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래서 5공화국은 경제문제 3중고를 해결하면서 정치적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기울이
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판단을 배경으로 5공화국정부는 제 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1982
년-1986년) 을 物價안정에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再調整하여 그 수정계획 (1984년-1986
년) 을 마련하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