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격요약
- □자격명 :
- 정보처리기사
- □영문명 :
-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 □관련부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기관 :
- 한국산업인력공단
- □응시자격 :
- 제한없음
- □자격분류 :
- 국가기술자격증
- □홈페이지 :
- www.q-net.or.kr
- □자격증 관계도
-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2. 자격정보
□ 정보처리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 우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제정됨.
○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베트남 3개국과 MOU를 체결함으로써 정보처리기사는 일본의 소프트웨어 개발기술자, 중국의 소프트웨어설계 기사, 베트남의 소프트웨어설계 기사와 상호 인정되는 자격 종목이 됨.
○ 2020년부터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과목이 개편됨.
- 기존 : 데이터베이스, 전자계산기구조,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공학, 데이터통신
- 변경 :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주요특징
○ 정보처리기사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의 “전자계산기구조” 및 “운영체계” 시험과목이 변경되어 서로 면제되지 않음.
○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자격으로서, 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
○ 구체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한 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시스템 설계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작업을 함.
□ 진로 및 전망
○ 취업
-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I(system integrated) 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를 시행하는 업체에 취업 가능.
- 정보통신부의 별정우체국 사무장, 사무 주임, 사무보조 등 사무원으로 진출 가능.
-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는 측량분야 수치지도 제작업의 정보처리 담당자로 진출 가능.
○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 가산점
- 일반직공무원 직렬공통으로 적용되었던 통신·정보처리 및 사무관리 분야 자격증 가산점(정보처리기사 : 7급, 9급 1%)은 폐지됨.(2017년)
- 기술직 공무원 방송통신 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자격부여
- 정보처리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전기통신공사업법에 의한 전기통신공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측량법에 의한 측량업 등록,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해양오염방지법에 의한 해양오염영향 조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3년 정기 기사 1회 |
2023.01.10 ~
2023.01.19 |
2023.02.13 ~ 2023.03.15 |
2023.03.21 |
2023.03.28 ~ 2023.03.31 |
2023.04.22 ~ 2023.05.07 |
2023.06.09 |
2023년 정기 기사 2회 |
2023.04.17 ~
2023.04.20 |
2023.05.13 ~ 2023.06.04 |
2023.06.14 |
2023.06.27 ~ 2023.06.30 |
2023.07.22 ~ 2023.08.06 |
2023.09.01 |
2023년 정기 기사 3회 |
2023.06.19 ~
2023.06.22 |
2023.07.08 ~ 2023.07.23 |
2023.08.02 |
2023.09.04 ~ 2023.09.07 |
2023.10.07 ~ 2023.10.20 |
2023.11.15 |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현행 시스템 분석 및 요구사항 확인(소프트웨어 공학 기술의 요구사항 분석 기법 활용)
- 데이터 입출력 구현(논리, 물리데이터베이스 설계, 조작 프로시저 등)
- 통합 구현(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간의 특성 및 연계 모듈 구현 등)
- 서버프로그램 구현(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구축, 형상 관리, 공통 모듈, 테스트 수행 등)
- 인터페이스 구현(소프트웨어 공학 지식,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설계, 기능 구현, 구현검증 등)
- 화면설계(UI 요구사항 및 설계, 표준 프로토 타입 제작 등)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테스트 케이스 설계, 통합 테스트, 성능 개선 등)
- SQL 응용(SQL 작성 등)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SW 개발 보안 설계, SW개발 보안 구현 등)
- 프로그래밍 언어활용(기본 문법 등)
-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활용, 네트워크 활용, 개발환경 구축 등)
-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제품소프트웨어 매뉴얼 작성 , 버전 관리등 )
□ 출제기준
□ 취득방법
○ 시험과목
- 필기
1) 소프트웨어설계
2) 소프트웨어개발
3) 데이터베이스구축
4) 프로그래밍언어활용
5) 정보시스템구축관리
- 실기
1) 정보처리 실무
○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30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